본문 바로가기

Brand&Design

우리말의 다양한 표정, 위트 있는 한글디자인


훈민정음 창제는 우리 민족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습니다. 한글은 과학적인 문자이며,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지요. 하지만 디자인적 측면으로 보았을 때 영문 폰트나 다른 문자에 비해 발전이 미흡해 아쉬움이 남습니다.


오늘은 위트 넘치는 감각으로 대중들에게 친숙한 한글을 선사하고 있는 디자이너들에 대해 소개합니다. 가볍고 즐거운 메시지 속에서 한글 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일상에 짧은 웃음을 주는 한글 디자인을 함께 살펴볼까요?



B급 센스, ‘우아한형제들’


흰 바탕 위에 ‘한나체’와 위트 있는 카피로 구성된 포스터


1960~70년대 간판을 모티브로 만든 ‘한나체’


먼저, ‘배달의민족’ 브랜드 제품입니다. 장식적 요소를 생략하고, 흰 바탕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살려 디자인한 것이 특징입니다. 모든 제품은 ‘우아한 형제들’이 디자인한 ‘한나체’를 사용했는데요, 1960~70년대 간판을 모티브로 만들어 삐뚤빼뚤한 형태의 ‘한나체'는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되는 제품과 만나 강렬한 메시지를 남깁니다.


양말과 티셔츠부터 때밀이 수건까지 다양한 종류의 브랜드 제품


때밀이 수건에는 ‘다 때가 있다.’, 수면 안대에는 ‘깨우면안대’, 에코백에는 ‘난 너의 든든한 백’등 제품이 사용되는 찰나를 짧은 카피로 표현하고 있네요. 언어유희, 인터넷 유행어등 대중에게 친숙한 ‘B급 문화’를 반영하여 인기몰이 중입니다.


출처: 우아한형제들



7080의 동심, ‘산돌티움’


‘산돌폰트’로 디자인 된 엽서와 노트, 표어, 스티커


최근 ‘응답하라 1988’이라는 드라마가 방영되었습니다. 88년도의 정서를 따듯하게 담아 공감을 얻었지요. 이번에는 ‘응답하라 1988’이 인기를 끌기 전부터 그 시절의 정서에 대해 이야기하던 브랜드를 소개합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폰트 디자인 기업 ‘산돌 커뮤니케이션’의 문구 브랜드 ‘산돌티움’입니다.



복고풍 일러스트 등이 특징인 1970~80년대 교과서를 모티브로 한 ‘바른 생활’ 시리즈


한글을 문화 상품으로 거듭나게 하는 것이 목표인 ‘산돌티움’의 제품은 모두 ‘산돌폰트’로 디자인되었습니다. 다양한 제품 중 1970~80년대 교과서를 모티브로 한 ‘바른생활’ 시리즈가 눈에 띄는데요, ‘석금호’ 대표는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그 시절의 동심에서 찾았다고 하네요. 따듯한 일러스트, 부모님 세대의 정서가 담겨있는 카피, ‘산돌 폰트'의 정갈함이 어우러져 짧은 동심을 불러옵니다.


출처: 산돌티움, 산돌티움 블로그




잉여인간의 단상, 붕가붕가레코드의 ‘김기조’


‘붕가붕가 레코드’ 소속 인디밴드 음반 디자인


‘장기하와 얼굴들’이라는 가수를 아시나요? 귀에 감기는 가사로 ‘잉여 인간’의 단상을 이야기해 큰 사랑을 받고 있지요. ‘장기하와 얼굴들’의 음반은 디자인도 범상치 않은데요, 모두 ‘붕가붕가 레코드’의 수석 디자이너 ‘김기조’의 작품입니다.



비주류의 애환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업물


‘붕가붕가 레코드’에 소속된 뮤지션들의 음반 디자인을 도맡고 있는 그는 자유롭고 과감한 한글 레터링을 선보입니다. 간결하지만 굵고 힘있는 획들이 마치 목소리를 가진 것 같네요. 개인적인 작업도 많이 했는데요, 비주류의 애환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어 눈길을 끕니다.


출처: 기조사이드




병맛 일러스트의 선구자 ‘김나훔’


‘내리면 탑시다’, ‘잉투기’ 포스터등 ‘김나훔’ 일러스트레이터의 대표작


‘병맛'이란 ‘병신 같은 맛’을 뜻하는 인터넷 유행어로 ‘맥락 없고 형편없으며 어이없음'을 뜻합니다. 이 신조어는 웹툰에서 시작되어 하나의 문화 코드를 형성하고 있지요. 이번에는 병맛 코드를 한글 타이포와 일러스트로 녹여낸 ‘김나훔' 작가를 소개합니다.


익살맞은 일러스트와 한글 레터링을 통해 엿보는 우리 사회의 모습


영문 로고를 한글로 바꾼 ‘로고 놀이’


일을 하며 틈틈이 작업을 이어왔다는 그는 ‘내리면 탑시다' 포스터로 이슈 몰이 한 이후 영화 ‘잉투기' 포스터, 파고다 어학원 대형 그래픽 등 굵직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익살맞은 일러스트와 한글 레터링은 우리 사회를 우스꽝스럽게 그리고 있습니다.


출처: nahumfact



어떻게 보셨나요?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했던 한글이 보다 친숙하게 다가오네요. 여러 디자이너들의 노력으로 한글 디자인은 꾸준히 발전해 왔습니다. 오늘 보여드린 사례는 그런 시도의 일부이지요. 발음의 시각화, 일러스트와의 조합 등 표현 방법도 가지각색입니다. 민족을 대표하는 문자인 만큼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데요, 한글의 표정이 이렇게 다양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by. 고슴도치 발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