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dea

식량문제의 해결: 양보다는 질!?

아이러니한 지표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인구는 기아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은 산술적으로 증가하기에, 식량문제는 피할 수 없다

세계의 식량생산량은 모든 인구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잘 분배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인류에게 있어 기아/영양실조 등의 식량문제와의 사투은 끝나지 않는 싸움이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 UN에서 발표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에 그 첫 주제 또한 극도의 가난과 빈곤을 근절하자 (Eradicate extreme poverty and hunger)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들은 다소 뻔한(?) 내용들이었습니다.

생산량의 늘리고, 분배에 그 초점이 맞추는 것, 그것이 바로 이런 해결책들의 핵심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Worldwatch Institution State of the World Report라는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세계식량문제 근절에 대한 흥미로운 해결책을 발표 했습니다. 기존의 거대한 생산과 분배의 관점에서 벗어나, 좀 더 작게 생각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지역공동체에게 그 지역과 관련 깊은, 어울리는 농사를 짓는 것이 오히려 많은 이득을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기도 합니다.

 

아프리카 사하라의 이남지역은 산업화된 농업보다 작은 커뮤니티 단위의 농업을 지향하는 것이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적 불안요인까지 고려해 보았을 때, 그들에게 더 지속가능하다

 

School gardening/feeding 즉, 학교에서 경작과 목축을 하고 지역 토착 종자/식물들을 보존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규모 지역 공동체에서의 생산과, 지역에서의 소비는 식량의 낭비를 줄이고, 식량안보를 높이는데도 기여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이 그들 자체적으로 더 지속 가능한 시스템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유기농업은 그들의 건강에도 좋고, 지구온난화 등의 뒤틀린 생태계도 되돌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공동체 중심의 농업은 그들에게 자립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해줄 확률도 더 높다고 합니다.

 

 

 

 

어찌 보면 이 보고서의 내용은 현재의 생산과 분배에만 집중되어 있는 현대의 식량시스템과 반대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량 생산 중심의 상황과 그에 맞춰진 정책들은 지역 농민들에게, 특히 빈국의 농민들에게 질보다는 양을 위한 농법을 강요해 왔고 이것은 악순환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이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가 전 지구적인 식량문제를 이겨내고 살아갈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식이 바로, 자연 그대로의 친환경적인 농법, 이전부터 전해왔던 방식의 지역 공동체 중심의 농업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장 앞에 것만 보는 근시안적인 시각을 벗어나,우리 모두를 살리는 일이 바로 더 옛날로, 더 자연으로 돌아가는 일이라고 하니, 왠지 우리 현대인들은 이런 너무도 당연한 이치를 너무 어렵게 깨닿지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이제 알았으니,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시장에서 유기농/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기 시작한 나는, 전 지구적 식량문제의 해결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