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로워크

(966)
우샤히디, 사회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만든 사회의 작은 변화 인터넷과 이동 통신 연결망을 통한 새로운 사회 미디어인 페이스북, 트위터, 티스토리, 싸이월드, 네이버 블로그, 다음 카페 등이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한국과 전세계 사람들과의 네트워킹 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킹망은 여러 분야별로 셀 수 없이 인터넷 망 위에 떠 있습니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혹은 악용되어 사이버 범죄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런 현상들 사이에서도 사회 미디어는 전세계인들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선행에 활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소개 합니다. 우샤히디(Ushahidi : 스와힐리어로 '증언'이라는 뜻), ushahidi.com 입니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는 폭력, 테러 사태 및 자연 재해 등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 웹 및 모바일을 ..
성범죄의 아픔을 겪은 이들, 카메라 앞에 서다 소설가 우애령씨의 단편소설 중에 '정혜'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이 소설을 원작으로 이윤기 감독은 각본을과 연출을 맡아 김지수, 황정민 주연의 영화 를 만들기도 했지요. 소설과 영화에는 어린시절 친척 어른에 의해 근친 성범죄의 피해자로 큰 상처를 입고, 엄마를 제외한 가족들의 사건 은폐 속에서 또 한 번 아픔을 겪은 뒤 마음의 문을 닫고 살아가는 여자 '정혜'가 등장합니다. 사람들과 관계를 거의 맺지 않고 살아가는 우체국 여직원 정혜의 건조한 표정이, 어린시절의 충격적인 사건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이 밝혀지면서 영화를 보는 내내 참 마음이 아팠는데요. 정혜와 같이 성범죄 피해의 경험을 지니고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어느 사진작가의 프로젝트가 있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포토그래퍼 그레이스 브라운(Grace Brow..
우리 유치원은 나무 위에 있답니다! 어린 시절 다녔던 유치원의 놀이터를 떠올리면 어떤 풍경이 떠오르시나요? 여느 유치원 놀이터가 다 그렇듯이 제가 다녔던 유치원에도 미끄럼틀과 그네, 시소, 모래밭이 있는 평범한 놀이터가 있었는데요,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는 시기인만큼 공부 못지 않게 체육활동이 정말 중요한 시기가 바로 이 유치원시기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보육시설에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옥외놀이터 공간이 반드시 확보될 수 있도록 법으로 정해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유치원 놀이터는 대부분 빨강, 노랑, 파랑 등 원색으로 꾸며진 놀이기구가 있고 바닥에는 푹신한 포장재가 깔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런데 일본 도쿄에는 이렇게 일반적인 유치원 풍경과는 많이 다른, 아주 독특한 유치원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나무에 지어진 유치원 Rin..
좁은 집안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방법! 자전거 한대쯤 가지고 계신 분들, 많이 계시죠? 슬로워크의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전거를 많이들 이용하실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고 저는 가족들 모두 각자 한대씩의 자전거를 가지고 있는데요, 집 밖에는 마땅히 자전거를 둘 곳이 없기도 하고, 혹시 망가지거나 없어질까봐 아파트 현관에 자전거 세대를 모두 세워놓고 살다보니 현관이 비좁게 느껴지곤 합니다. 게다가 1인 가구가 많아진 요즘에는 혼자 사는 공간에 자전거까지 보관하다보니 집안에 발 디딜 틈 없어진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작은 원룸에서 혼자 자취하고 있는 제 친구도 자전거를 잘 타지 않는 겨울 동안 좁은 집 안에 자전거를 들여놓고 사느라 이만저만 불편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제 친구처럼 자전거를 보관할 장소가 고민인 ..
낡은 공중전화 박스의 변신은 무죄! 혹시 요즘에도 휴대폰 없이 사시는 분, 계신가요? 제가 초등학교 고학년~중학교 때 즈음인 십수년 전 부터 사람들이 각자의 '휴대용 전화기'를 들고다니기 시작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이제는 그냥 휴대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한 때는 너무나 흔했었지만 이제는 세상에서 사라져버리다시피 한 존재가 하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범람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놓인 그것은 바로 공중전화! 한때는 공중전화 몇개쯤 당연히 있었던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 근처에도 공중전화 박스를 찾기란 정말 어려워졌습니다. 낡고 고장나서 없어진 것이 아니라 이제 더 이상 사람들이 쓰지 않아서 철거된 것들이 대부분일텐데요, 그 많고 흔하던 공중전화 박스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이제 원래의 용도로 더 이상 쓰이지 못하는 공중전화 박..
지속가능한 커피 한 잔 하실래요? 슬로워크가 위치한 삼청동은 5년 전만 해도 조용했지만, 이제는 수많은 카페와 레스토랑을 이웃에 두고 있습니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커피 전문점의 숫자만큼 커피도 이제는 친숙한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잘 생긴 남자배우가 커피 패키지에서 나와 타주는 커피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작은 카페라는 문구의 커피광고까지 보게 되는데요. 오늘은 세상에서 두 번째로 작을 것 같은 카페를 소개합니다. Kickstand 커피는 뉴욕 시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식 카페입니다. 차도 오토바이도 아닌 자전거로 움직이는 이 카페는 자전거에 접이식 가판대를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Kickstand 커피는 2010년 커피와 사이클링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열정으로 시작되었다는데요. 현재는 주로 브루클린 지역을 ..
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 표시 지도 최근들어 자주 들리는 기사거리들이 도시계획 디자인, 얼바니즘에 관한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도시 디자인은 지속 가능 경영, 지속가능성 등의 개념과 함께 진행되어 장기적으로 기획되어 실행이 되는데요, 요즘 국외에서 실질적 움직임들도 하나 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 중 한 움직임으로, 뉴욕시 연간 빌딩 에너지 소모량 정보(2009년도 자료) 지도 리서치 연구 팀의 인터렉티브 뉴욕시 맵을 소개합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형태로 연간 에너지 소모량을 색으로 구별하여 지도에 표시하고 건물 위로 마우스를 갖다 대면 그 빌딩의 연간 에너지 소모량 분석이 나옵니다. 분석내용은 공간 온열과 냉방, 온수, 기본적인 전기사용 부분, 총 4부문입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링크 :: http://modi.mech.co..
노상방뇨 방지를 위한 심플한 화장실! 작년 연말에도 소변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해드린 적이 있죠 ^^ '샤워하면서 해결하는 친환경적인 소변보기'에 대한 포스팅(http://slowalk.tistory.com/1078) 이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게 될 소재도 소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물론 슬로워크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분들 중 노상방뇨를 상습적으로 일삼는 분들은 없겠지만, 어쩌다가 할 수 없이 노상방뇨를 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나무에 거름주는 거야~'라고 합리화하며 노상방뇨를 저지르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가 그저 합리화에 지나지 않을 뿐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있죠 ^^ 실제로 인간의 소변에는 질소나 칼륨 등 풍부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고 생산(?) 과정에서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아 아주 좋은 비료의 재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