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행복지수, 세계 몇위일까?
OECD는 창설 50주년을 기념해 각국의 생활환경과 삶의 질을 측정해 수치화한 ‘행복지수(The Better Life Index)’를 발표하였습니다. OECD(경제 협력 개발 기구) 가입국 34개국을 대상으로 측정된 행복지수는 각 나라는 그래픽화된 꽃으로 표현되어 꽃이 피어있는 정도나 행복지수를 구분짓는 인덱스의 컬러 구분 등으로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도록 그래픽화 되어 있습니다. 또한 행복지수 인덱스를 통해 주거, 수입, 직장, 공동체, 교육, 환경, 경영, 건강, 생활 만족도, 안전, 일과 생활의 균형 중 본인의 삶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화제는 +, 별로 알고싶지 않거나 본인의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 화제는 - 체크하여 본인에게 중요한 화제의 꽃잎만 강조하여 좀더 개인의 삶에 맞는 행복지수를 ..
곡물자급률, 우리나라는 30개 국 중 26위?!
곡물자급률은 국내에서 소비하는 식량의 공급량 중에서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양이 차지하는 비율을 일컫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오시나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25.3%로, 순위는 OECD 30개 국가 중 26위입니다. 하루 세 끼 중, 두 끼 이상을 외국 식량에 의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심각한 곡물자급률 문제를 알리기 위해 slowalk에서는 다른 국가와 견주어 우리 식량자급률의 현실을 알 수 있는 포스터를 제작하였습니다. 미국, 영국, 스웨덴, 독일 등의 선진국들은 곡물자급률 100%를 웃돌며, 1위인 프랑스는 무려 329%의 곡물자급률로 우리와 크나큰 격차를 보여줍니다. 세계의 유수한 선진국치고 곡물자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