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캠페인

(177)
무엇이든 질문상자에 물어보세요~ 저한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위의 사진에 네모난 기계는 바로 일종의 지식in 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져 입니다. 사람들은 저 기계에다가 자신이 필요한 어떤 정보든지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받을 수 있지요. 이 질문상자 (question box)는 openmind 라는 단체에서 만들었습니다. 퀘스쳔박스 프로젝트는 일생동안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그들이 언어사용, 기술사용, 문자독해에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런 한계 때문에 정보에 접근하는데, 제한이 없도록 그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바로 이 질문상자가 탄생한 것입니다. 해결 방법은 그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면서, 그들이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도록 대화로 전달하는 방식을 ..
"이 기사는 위험한 기사입니다."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지는 신문기사의 정보들. 당신은 얼마만큼 기사의 정보를 신뢰하시나요. 우리에게 전달되는 기사를 보고 사회가 돌아가는 모습들을 조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기사가 실질적인 정보를 오히려 왜곡하는 창이 되지는 않을까요? 수많이 쏟아지는 기사속에서, 무분별하고, 무책임하게 전달되는 기사에 대한 일침을 가하고자 나선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영국의 코미디언이자, 언론인, 톰스콧 입니다. ( 그의 트위터 주소는 @tomscott 홈페이지 주소는: http://www.tomscott.com ) 이 활동을 시작한 톰 스콧 (Tom Scott)은 미디어가 다루는 폭력적인 기사나, 성적인 콘텐츠, 언어폭력에 해당될 만한 강한 어조의 기사들이 아무런 주의 표시없이 기사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 이상하다..
포터블 화장실?! 볼 일이 급할 때, 주변에 화장실이 없어서 곤혹스러웠던 경험. 다들 한번 쯤은 있겠지요. 그래도 우리는 그나마 일상의 헤프닝 정도로 화장실이 없을 때의 불편함을 겪습니다. 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화장실이 아예 없이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이런 사람들은 몇 명이나 될까요? 26억명이나 된다고 하네요. 이런사람들을 위해, 화장실을 만들어주면 어떨까요? 그리고 그 사람들을 위해서 화장실 안의 분뇨를 모아서 재활용처리해서 에너지도 발생시킬 수 있을까요? 이를 한번에 해결하는 디자인이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하냐구요? 아래의 영상을 먼저 보시지요. 놀라운 스톱모션 영상입니다. 누구나 봐도 이 화장실과 그 역할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져있습니다. 네 바로 포터블 화장실입니다. 이렇게 ..
페트병으로 꾸미는 도시 속 초미니 가든! 사방을 둘러봐도 나무 하나 없는 도시에 살고 있지 않으신가요. 때로는 탁트인 자연이 그립지는 않으신가요. 이런 도시위에 작은 자연을 선사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그린 액티비스트 그룹 ABE 가 그 주인공. 이들의 활동은 예전에 한 번 소개해드린적이 있습니다. 이전글 보러가기- "나뭇잎으로 쓰는 그래피티" 이번에는 바로 도심속에 꾸미는 "게릴라 페트병 정원" 입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다 쓰고 남은 플라스틱 우유병의 밑부분을 잘라내고, 그 안에 약간의 흙을 담고, 화초를 심으면 됩니다. 이렇게 만든 페트병화초를, 도시 속, 자연의 숨결이 필요한 곳에 게릴라식으로 부착! 하면 바로 게릴라가든 완성! 이제는 자연을 확장시켜나가는 게릴라 운동이 벌어지는 시대인가요! 자연을 경험하는 순간을 늘리는것도 이제..
일회용 프린터? 일회용 카메라는 들어봤지만, 일회용 프린터가 있다구요? 의심되신다면 지금 소개할 진짜 일회용 프린터를 만나보세요. (물론 아직은 컨셉, 프로토타입의 제품이지만요^^;;;) 이 일회용 프린터 카트리지는 일회용카메라를 출력할 수 있는 놀라운 파트너 아이템입니다. 우선, 당신은 매장에 가서, 당신이 출력하고 싶은 종이 크기에 맞게, 이 프린터 카트리지를 고르세요. 인쇄 해상도나, 인쇄사이즈크기, 인쇄속도와 관련된 정보는 프린터 카트리지 패키지에 그대로 표시되어 있으니까 그대로 살펴보고 고르시면 됩니다. 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패키지는 우유포장용지를 재활용 한겁니다. 친환경 포장용지인 셈이지요~^^ 이 일회용 프린트 카트리지는 카메라와 USB로 연결되서, 그 전원을 받아서 작동 됩니다. 사실 소개를 하고 보니,..
아프리카, 그녀들의 생리대를 위한 캠페인! 질문: 아프리카에서 이것은 누더기, 나무껍질, 진흙덩어리 입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a: 쓰레기 b: 건축자재 c: 여성들의 생리대 개발도상국에 있는 수백만의 여성들은 일년에 50일을 그들의 일터, 학교에서 보내지 못하고 집에서 머무릅니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생리주기에 있을 때, 충분히 위생적이며 안전한 생리대를 확보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녀들이, 충분한 옵션을 제공받는 다 하더라도, 이를테면, 그녀들에게 세계적인 브랜드의 안전한 생리대를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주더라도, 그것들을 지속적으로 구입하는데는 엄청난 비용이 들지요. 실제로 르완다의 경우는, 여학생들의 36%가 생리 때문에, 그들의 학업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래서 그 대안으로, 나뭇잎,..
열차가 지나다니던 레일위에 녹색공원이 탄생합니다. 도심재생사업이 한국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도시의 산업화 시대와 맞물리면서 산업발전과 궤를 같이 하던 지난 시대의 건축물, 도시구역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산업구조가 바뀌고 낙후된 지역으로 바뀌면서, 오늘날 이 지역들을 어떻게 바꿔 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들이 활발하게 진행 되었지요. 우리나라의 도심재생사업이, 단순한 아파트 재개발 사업이 아닌, 보다 의미 있는 재생사업이 되기 시작한 것도 불과 몇년 되지 않았습니다. 선유도공원이 쉽게 떠올려 볼 수 있는 좋은 재생사업의 예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선유도공원 (사진출처: http://photo.naver.com/view/2008120720513288766 ) 우리보다 훨씬 더 근대도시가 만들어지고, 도시 재생사업을 펼쳤던 미국에서는, 더 많..
스타벅스 일회용 컵의 변신은 무죄? 당신이 마시는 스타벅스의 커피. 이 커피가 담겨져 있는 일회용 용기에 대해서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전세계에서, 스타벅스 커피는 하루동안, 3000만개가 팔려나갑니다. 이것을 1년으로 환산하면, 110억개의 커피가 팔려나간다는 이야기인데요. 즉, 이런 커피를 담을 수 있는 일회용 커피컵을 만들기 위해서 매년 수천,수백톤의 종이와 플라스틱이 재료로 사용됩니다. 우리는 하루에 한잔, 혹은 일주일에 한두잔을, 습관적으로 일회용 용기에 담아서 커피를 즐길 뿐이지만, 전지구적으로 보면 이런 일회용컵 사용이 거대한 자원의 소모를 불러 일으키는 셈이지요. 이런 낭비를 막을 수는 없을까? 좀 더 재생적이면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일회용용기를 디자인 할 수는 없을까? 오늘의 주인공 크리스 파노폴러스는 좋은 아이디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