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1062) 썸네일형 리스트형 계란 껍질 속에서도 자라나는 정원 정원을 가꿀 공간이 없다는 이유로 정원 가꾸기를 망설여 왔다면, 오늘 이 10개의 소박한 재활용 정원 사진들을 보시면서 정원가꾸기에 대해 용기를 얻게 되시길 바랍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쓰레기에 불과할 것들을 이용해 가꾼 크고 작은 정원들의 사진입니다. 무려 달걀 껍질! 알토이즈 사탕 깡통. 어떻게 처분해야할지 처치곤란이었을 낡은 욕조. 요건 식빵 굽는 틀! 카프리썬 음료 봉투. 구식 전화기와 라디오들. 깡통 낡은 벤치 오래된 아이스박스. 서랍장. 계란 껍질도, 처치 곤란이었던 낡은 욕조도, 사탕깡통도, 심지어 고장난 라디오도 그 가치를 알아보는 사람을 만나면 텃밭이 될 수 있군요 :-) posted by slowalk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먹을 수 있는 커피잔 - Cookie Cup 길을 걷다 보면 일회용 테이크아웃잔을 들고 있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커피를 위해 소비되는 테이크아웃잔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은 궂이 통계를 내지 않아도 알수있죠. 물론 종이컵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그 중 많은 양이 일반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재활용을 위한 에너지소비와 그로 인한 탄소배출은 어마어마 합니다. 여기 그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 할 수 있는 달콤하고 고소한 아이디어가 있는데요, 베네수엘라의 디자이너인Enrique Luis Sardi와 이탈리아 커피브랜드인 Lavazza가 만나 먹을 수 있는 커피잔 '쿠키컵을 선보였습니다. 쿠키로 만들어진 컵이라면 커피가 스며들어 쿠키가 부서질 수도 있겠죠? 하지만 '쿠키컵'은 그 문제를 달콤하게 해결했습니다. 쿠키컵 안쪽에 하얗게 보이는 것이 '아이싱슈가.. <인포그래픽>당신의 정직함을 테스트합니다! 정직함을 테스트하다? 이 야심한 목표를 가지고 실시된 재밌는 실험이 있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미국 주요 30개 도시에서 실시된 'Honest Tea Test'가 바로 그 주인공인데요, 이 테스트는 무인 팝업스토어를 설치하고 음료를 가져간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1달러를 지불하는 간단한 실험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Honest Tea Test"는 간단하면서도 정직함을 테스트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 테스트의 특이한 점은 단순히 성별, 연령별로 결과값을 비교한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온 사람들과 오토바이족, 또는 모자쓴 사람과 선글라스를 쓴 사람 등 재밌는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연 미국 시민들의 정직함은 어느 정도 일까요? 랜덤으로 비교되는 인포그래픽을 .. 버려진 쓰레기들의 찬란한 반란 본질이 아닌 프리즘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빛. 버려진 쓰레기에 빛이라는 존재가 더해진다면 우리에게 어떠한 메세지를 전해줄 수 있을까요? 쓰레기와 빛을 이용한 설치미술을 통해 환경문제와 도시오염문의 인식을 돕고자 하는 스위스 익명의 아트콜렉티브 Luzinterruptus. 그들의 활동을 소개해 드리고자합니다. 이들은 스페인과 유럽전역을 돌며 도심에서도 환경문제가 심각한 곳을 찾아 설치미술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시민들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이끌어 내 좀더 효과적인 메세지 전달을 하고 있습니다. Radioactive Control.(2011) 방사능의 해악을 재조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설치물은 일본원전폭파 사건에 사용된 작업복 100여벌로 만들어졌습니다. 마치 더이상 살아갈 수 없는 지구를 떠나는 사람들.. 노상 주차장을 도시 공원으로 ! Parklet 도시 공원을 위해 자신의 주차공간을 양보할 수 있나요? 샌프란시스코의 가장 활기있고 복잡한 지역인 pawell거리에는 8개의 공원이 있습니다. 도로변 주차장을 공원으로 만든것인데요.200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된 거리 공원화 프로젝트인 Pavement To Parks의 일환으로 노변 주차장을 공공 공원으로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공원을 만들기위해서는, 지역 이해관계자들이 제안 요청서(RFP)를 시에 제출하고 평가위원회에는 제출된 제안이 프로그램 요구 조건에 적합한지를 평가합니다. 제한속도가 시속 40km이하인 도로만을 그 대상으로 하는데요. 공원 조성으로 인한 자전거 주행은 불편이 없는지, 모퉁이와 멀리 떨어져 안전 사고의 위험은 없는지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시민들에게 공지를 합니다. 만약 반대의견이 .. 아프리카의 태양열 상점 Solar Kiosk 세계인구의 16%(15억명) 는 아직도 전기의 이용이 쉽지 않습니다. 독일의 건축가 Lars Kruckeburg는 아프리카 지역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습니다. 2011년도 부터 진행해온 "Solarkiosk"라는 프로젝트입니다.Solarkiosk는 에너지 독립적인(off-grid)인 이동형 상점인데요. 2011년 독일정부의 지원을 받아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2012년 7월 드디어 에디오피아에 1호점을 열었습니다. 에너지 사용의 대부분을 바이오 연로에 의존하는 아프리카의 가정은 수입의 40%정도를 에너지 사용을 위한 비용으로 지불합니다. 휴대폰이 있다해도 휴대폰 충전을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현실입니다. Solarkiosk는 이런 아프리카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 버려진 물건들이 화분으로 재탄생하다! 오늘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버려지는 물건들이 놀랍게 멋진 화분으로 변신한 이야기들을 소개해 드려볼까 합니다. 그 첫 번째, 알록달록 색도 다양하고 크기도 작아 허브같은 작은 식물들에게 잘 어울릴것같은 이 화분들. 화분으로만이 아니라 연필꽃이나 부엌에서 물건을 담아두는 용도로 써도 아주 좋을 듯합니다. 이것들은 모두 쌀자루를 재활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더구나 현재 캄보디아에서 공정무역 프로젝트로 생산되고있는 착한 제품이기까지 하구요. 모두 직접 손으로 만들어졌기에 하나하나가 세상에 하나뿐인 것들이지요. 두 번째, 신문지 재활용 아이디어. 매일 어마어마한 양으로 버려지는 신문지를 보며 어딘가 사용될 순 없을까? 라고 생각하곤했는데 이렇게 화분으로 변신이 가능했었습니다. 우리가 무심히 버린 그 신문이 얼마나 .. 26억 명을 위한 화장실 세계인구 40%가 화장실 없이 살아간다는 사실 아셨나요? 세계 총 인구 70억 명이 돌파한 가운데 이중 약 26억 명이 화장실 없는 곳에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식수나 지하수가 쉽게 오염되고 질병에 걸리기 쉬워 어린아이들은 물론이고 많은 이들이 불편함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해요. 논밭에 가도 이동식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우리나라로선 참 낯선 이야기 같습니다. 그 많은 인구가 화장실 부재로 인해 꽤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음을 깨달은 스웨덴의 Peepoole은 해결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가능한 1인용 변기 Peepoo Bag입니다^^ "근데 비닐이잖아?"라는 생각 드셨죠? 네, 비닐이 맞습니다. 하지만 보통 비닐이 아니에요^^ 피푸백은 이중으로 되어 있는 비닐백입니다...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