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owalk

(1062)
좁은 집안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방법! 자전거 한대쯤 가지고 계신 분들, 많이 계시죠? 슬로워크의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전거를 많이들 이용하실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고 저는 가족들 모두 각자 한대씩의 자전거를 가지고 있는데요, 집 밖에는 마땅히 자전거를 둘 곳이 없기도 하고, 혹시 망가지거나 없어질까봐 아파트 현관에 자전거 세대를 모두 세워놓고 살다보니 현관이 비좁게 느껴지곤 합니다. 게다가 1인 가구가 많아진 요즘에는 혼자 사는 공간에 자전거까지 보관하다보니 집안에 발 디딜 틈 없어진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작은 원룸에서 혼자 자취하고 있는 제 친구도 자전거를 잘 타지 않는 겨울 동안 좁은 집 안에 자전거를 들여놓고 사느라 이만저만 불편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제 친구처럼 자전거를 보관할 장소가 고민인 ..
낡은 공중전화 박스의 변신은 무죄! 혹시 요즘에도 휴대폰 없이 사시는 분, 계신가요? 제가 초등학교 고학년~중학교 때 즈음인 십수년 전 부터 사람들이 각자의 '휴대용 전화기'를 들고다니기 시작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이제는 그냥 휴대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한 때는 너무나 흔했었지만 이제는 세상에서 사라져버리다시피 한 존재가 하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범람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놓인 그것은 바로 공중전화! 한때는 공중전화 몇개쯤 당연히 있었던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 근처에도 공중전화 박스를 찾기란 정말 어려워졌습니다. 낡고 고장나서 없어진 것이 아니라 이제 더 이상 사람들이 쓰지 않아서 철거된 것들이 대부분일텐데요, 그 많고 흔하던 공중전화 박스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이제 원래의 용도로 더 이상 쓰이지 못하는 공중전화 박..
지속가능한 커피 한 잔 하실래요? 슬로워크가 위치한 삼청동은 5년 전만 해도 조용했지만, 이제는 수많은 카페와 레스토랑을 이웃에 두고 있습니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커피 전문점의 숫자만큼 커피도 이제는 친숙한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잘 생긴 남자배우가 커피 패키지에서 나와 타주는 커피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작은 카페라는 문구의 커피광고까지 보게 되는데요. 오늘은 세상에서 두 번째로 작을 것 같은 카페를 소개합니다. Kickstand 커피는 뉴욕 시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식 카페입니다. 차도 오토바이도 아닌 자전거로 움직이는 이 카페는 자전거에 접이식 가판대를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Kickstand 커피는 2010년 커피와 사이클링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열정으로 시작되었다는데요. 현재는 주로 브루클린 지역을 ..
길거리에 하트무늬를 남기는 남자?!?! 나무에서 떨어진 연둣빛 잎사귀들을 누군가가 한 데 모아 하트 모양을 만들었네요. 아스팔트 도로 옆에도, 도로보수현장에도, 빨랫줄에도, 이 사진들은 캐나다의 Street Artist Roadsworth 의 사진들입니다. 일상에서 흔히 만나는 삭막한 도시풍경에서 만난 하트. 아무리 화가 나는 일이 있었더라도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하트 하나에 모는 마음이 눈녹듯사라질 것 같습니다. Roadsworth, 그는 10년 전, 자동차 문화를 반대하고 자전거 문화를 널리 확산시키기 위해 길거리 예술을 시작했었습니다. 같은 맥락으로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가 'DEAD HEARTS', 도심 거리에 하트무늬를 남기는 작업이지요. 그의 다양한 하트무늬들도 만나볼까요? 영상으로도 만나보세요~^^ by 토끼발자국 공감하시면 아래..
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 표시 지도 최근들어 자주 들리는 기사거리들이 도시계획 디자인, 얼바니즘에 관한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도시 디자인은 지속 가능 경영, 지속가능성 등의 개념과 함께 진행되어 장기적으로 기획되어 실행이 되는데요, 요즘 국외에서 실질적 움직임들도 하나 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 중 한 움직임으로, 뉴욕시 연간 빌딩 에너지 소모량 정보(2009년도 자료) 지도 리서치 연구 팀의 인터렉티브 뉴욕시 맵을 소개합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형태로 연간 에너지 소모량을 색으로 구별하여 지도에 표시하고 건물 위로 마우스를 갖다 대면 그 빌딩의 연간 에너지 소모량 분석이 나옵니다. 분석내용은 공간 온열과 냉방, 온수, 기본적인 전기사용 부분, 총 4부문입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링크 :: http://modi.mech.co..
도시의 새들에게도 편히 쉴 공간을 달라!?!? 우리 나라의 새는 지금까지 약 396종이 살고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의 새 종류와 개체수가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는군요. 새가 주로 서식하는 산에도 음식점, 산림 박물관 등의 건립으로 인해, 번식에 필수적인 참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 없어짐에 따라 새가 살아가는 서식환경이 박탈당했고 소음, 공해, 개울물의 오염 등으로 치명적인 위협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군요. 이런 상황은 도시에서 더욱 심각하고요. 살 곳을 잃어 사라지는 새들. 왜 사라져가는지 이유를 알았다면 해결책을 제시해 주어야 하겠죠? 최근 독일의 한 디자인 회사는 "Vogelstad라는 신개념 새집을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크기의 새집들이 연결된 모양이 마치 어릴적 가지고 놀던 조립 로보트의 부품처럼 생겼습니다. 이렇..
노상방뇨 방지를 위한 심플한 화장실! 작년 연말에도 소변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해드린 적이 있죠 ^^ '샤워하면서 해결하는 친환경적인 소변보기'에 대한 포스팅(http://slowalk.tistory.com/1078) 이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게 될 소재도 소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물론 슬로워크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분들 중 노상방뇨를 상습적으로 일삼는 분들은 없겠지만, 어쩌다가 할 수 없이 노상방뇨를 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나무에 거름주는 거야~'라고 합리화하며 노상방뇨를 저지르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가 그저 합리화에 지나지 않을 뿐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있죠 ^^ 실제로 인간의 소변에는 질소나 칼륨 등 풍부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고 생산(?) 과정에서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아 아주 좋은 비료의 재료가 될 수 있다..
노숙자, 내 집 마련 캠페인, I Am Here 지하철역 계단을 올라가다 보면, 가끔 계단에 걸터앉아 구걸하는 노숙인 아저씨와 마주치게 되는데요. 가끔 돈을 드리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고 무심코 지나칠 때가 더 많아집니다.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라도 도움을 받는 사람이 어떠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지, 내가 기부한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쉽게 도와주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디자이너 김황씨의 cocoon작품과 표절논란을 겪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얼마전 대학생 동아리 비온대지의 '프로젝트 고치'가 선보여 노숙인의 수면환경을 개선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Austin 지역에서는 단순히 수면환경만을 개선한 것이 아닌, 전반적인 노숙인 환경의 근본적인 문제를 스토리텔링을 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