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and&Design

5분 만에 보는 타이포그라피의 역사

알파벳 타이포그라피의 역사를 5분 안에 담아낸 페이퍼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The Typography of History(타이포그라피의 역사)'를 소개합니다.





한글만큼이나 이미 우리에게 익숙해져버린 알파벳(로마자) 글자. 특히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들에게 알파벳 글자에 관한 지식은 아주 기본적이며 필수 요소입니다. 이제는 우리도 한글만큼 영문을 자주 접하고 있고, 디자인의 기초인 타이포그라피(글자와 관련된 모든 조형적 활동)라는 최초 개념도 알파벳 글자 연구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이야기는 꽤나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습니다.


'타이포그라피의 역사(The Typography of History)' 영상은 캐나다의 21살 젊은 디자이너 벤 배럿-포레스트(Ben Barrett-Forrest)가 손수 만든 페이퍼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인데요, 그는 약 1년 전부터 글자에 관심을 깊게 가지기 시작하면서 글자 공부에 대한 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이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고 합니다. 그 덕분에 우리도 영문 타이포그라피의 역사에 대해 보다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네요^^ 그럼 한컷 한컷 자세히 살펴볼까요?



글자는 언어를 표현하고 우리의 생각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세계 최초의 활자술에 대해서는 늘 논의되고 있다고 합니다만, 여기에서는 구텐베르크가 최초의 활자를 만들었다는데 꽤 많은 이들이 동의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구텐베르크의 활자술은 15세기에 발명되었고, 우리나라 최초 활자술은 200년이나 빠른 13세기에 발명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의 최초 활판인쇄물은 실제로 전해지지 않아 그 기록만 남아있는 상태고, 구텐베르크의 것만 현존하고 있다고 해요.)



구텐베르크의 활자체는 13세기부터 다져진 유럽 수도승들의 필기체(블랙레터, Blackletter)에서 따온 것으로 활자들이 들쑥날쑥한 모양의 선들로 엮여 있는 형태였는데요, 필기하기에는 좋으나 인쇄용으로는 그 가독성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게 '로만체(Roman Type)!'




로만체는 니콜라스 젠슨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고대 로마 건물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서체입니다. 사람의 손 대신 삼각형, 사각형, 원과 같은 기하학적 규칙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죠.



로만체는 네상스(14~16세기 서유럽 문명사에 나타난 문화운동으로 근대 유럽문화 태동의 기반.) 덕분에 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퍼졌습니다.



머지않아 알두스 마우티누스(Aldus Manutius)에 의해 기울임꼴 서체 '이탤릭체(Italics)'가 개발되었고, 이는 글꼴이 기울어져 있어 공간 절약을 할 수 있어 돈을 덜 들여야 하는 인쇄 시에 사용되었고 합니다.



그후 18세기의 영국에선 윌리엄 캐슬론(William Caslon)이 세리프(Serif, 로마자 활자의 글씨에서 획의 시작이나 끝 부분에 있는 작은 돌출선. 쉽게 '명조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에 대한 정의를 하고자 계속해서 서체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그 작업들은은 성공적이었는지 그때 개발되었던 서체들이 지금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캐슬론 서체는 그다지 혁신적이지 않았지만 그의 후임자들은 위대했다고 표현합니다. 그의 연구생이었던 바스커빌(Baskerville)은 전보다 얇은 획과 굵은 획의 대비를 줘 가독성을 한층 더 높인 '과도기 서체(Transitional Typeface)'를 만들었습니다. 그후 디도(Didot)와 보도니(Bodoni)가 바스커빌의 아이디어를 이어 바스커빌체보다 획의 대비를 더 주어 서체를 디자인한 것이죠. 이들은 현재 '모던 서체(Modern Typeface)'라고 불리는 타입들입니다.




그후 윌리엄 캐슬론의 손자인 윌리엄 캐슬론 4세는 세리프를 없애버린 최초의 '산세리프(Sans Serif)체'를 디자인하기에 이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이고 있는 '고딕(Gothic)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사실 '고딕'이란 앞서 말한 블랙레터를 칭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다소 잘못 인식되어 쓰이고 있는 것이라고 하네요.



19세기 상업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광고들이 넘쳐나게 되고, 그에 맞는 상업적인 서체가 필요해졌습니다.






격렬한 서체 실험들이 무수히 쏟아져 나왔지만, 그중 '이집트체(Egyptian)'만 건질 수 있었다고 평가하네요.




이렇게 상업적인 서체들이 난무하는 사태에 반발해 20세기 초의 디자이너들은 궁극적으로 간단한 서체 개발에 전력을 쏟았고, 결국 1927년 독일 바우하우스의 폴 레너(Paul Renner)가 '푸츄라(Futura)'라는 산세리프체를 만들어냅니다.



더이상 손 글씨의 느낌이 나지 않는 기하학적인 조형원리에 기반해 산세리프체를 만들었고,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서체 중 하나가 된 것입니다.



물론 고전 서체 양식과 산세리프를 합친 형태의 서체가 나오기도 합니다. 영국의 에릭 길(Eric Gill)이 만든 '길 상스(Gill Sans)'입니다. 휴머니스트 상스라고도 불립니다.





그리고나서 드디어 등장합니다. 1957년 스위스에서 첫 발표가 되죠. 현재까지도 최고의 사랑을 받고 있는 서체, '헬베티카(Helvetica)'입니다. 헬베티카의 그 간결한 형태는 어디든 잘 조화를 이루게끔 만들어진 것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또한 굵기별로 따로 디자인된 서체이기도 합니다.




이제 타이포그라피 방식은 영원히 바뀌어버립니다. 더이상 손수 만드는 활자가 아닌 컴퓨터로 쉽게 만들어버리는 픽셀 서체가 보편화되어버렸죠. 아무나 서체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물론 그 범위가 다양해지고 쉽게 완성도있는 서체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코믹 상스(Comic Sans)'와 같은 서체까지 나와버렸다고 꽤 속상해하네요^^; (다소 가볍고 완성도가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널리 쓰이고 있는 서체인 듯 싶습니다.)



어쨌든 여기까지가 타이포그라피의 역사라고 합니다.


그 방대한 타이포그라피의 역사가 이렇게 하나의 포스팅으로 정리될 수도 있네요. 실제로 이 영상을 만든 벤 배럿-포레스트는 이 5분 영상을 만드는데 2개월이 걸렸다고 하는데요, 그는 마치 350개 가량 되는 단어들이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듯한 느낌까지 들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이해가 쏙쏙 잘 되는 타이포그라피 역사 영상을 만들어줘서 감사할 따름이네요^^ 여러분은 이해가 잘 됐나요?


'타이포그라피의 역사(The History of Typography)' 풀버전 영상



출처 | 포레스트 미디어(Forrest Media)

by 고래 발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