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플라스틱병으로 만든 리바이스진 점점 환경을 생각하는 재활용 소재가 부각되고 있는데요, 우리가 자주 입는 청바지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적용된 바지가 있습니다. 이번 리바이스진의 새로운 컬렉션입니다. 지난 달, 리바이스 브랜드는 Spring 2013 Waste Less collection을 소개했습니다. 남녀 모두를 위한 이 컬렉션은 새로운 데님라인으로, 전 세계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중 8개는 적어도 20%가 재활용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것이고, 평균적으로 12-20온스(ounce)의 플라스틱 탄산음료병이 포함되어있다고 합니다.이런 캠페인은 리바이스가 청바지를 제작하는 환경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일환 중 하나라고 합니다. 리바이스는 전부터 지속가능한 소재들을 사용했는데요, Water Less Jeans외에 Organic Jea.. 냄새먹는 옷걸이, 'Bye Bye Laundry' 지나치게 잦은 세탁은 물소비를 증가시키고, 지구환경과 세탁물까지도 오염시키는데요. 오늘은 자주 세탁하지 않아도 청결한 옷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친환경 옷걸이 'Bye Bye Laundry'를 소개합니다. 영국의 디자이너 Lisa Marie Bengtsson은 너무 잦은 세탁으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물환경과 세탁물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사람들의 태도와 인식을 바꿔주기 위한 대안으로 친환경 옷걸이 'Bye Bye Laundry'를 디자인 했다고 합니다. 'Bye Bye Laundry'는 냄새를 흡수해주는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을 이용하여 세탁물이 보다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고 합니다. 'Bye Bye Laundry'는 활성탄의 교체가 용이하며 활성탄이 악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작된 유리.. '점점 달력' - 2013 멸종위기동물 점잇기 달력 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도태되는 종도 있지만 대부분 인간의 환경파괴로 인한 결과인데요, slowalk에서는 지속적으로 멸종위기동물에 대해 블로그에서 다뤄오고 있습니다. 2010. 5. 4. 레고로 만든 멸종위기 동물 2010. 5. 31. 멸종위기종으로 구성된 코르크 게시판 2010. 6. 1. 사라져가는 멸종위기동물모양 지우개 2010. 7. 28. 멸종위기동물의 아가들을 만나보세요 2010. 11. 5. 알파벳 문자로 표현된 멸종위기 동물들 2011. 4. 25. 지구상에 존재하는 고래의 80%가 사라져버렸습니다 2011. 5. 12. 황새는 다이어트 중? 2011. 6. 4. 호주에서 코알라를 볼 수 없게 된다면? 2011. 10. 1. 동물들의 증명사진 2012. 1.. 로드킬(찻길동물사고)을 방지하는 디자인 로드킬이라고도 부르는 찻길동물사고는 동물이 도로에 나왔다가 자동차 등에 치여 사망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에 2천건이 넘는 찻길동물사고가 벌어지고 있는데요, 찻길동물사고로 죽은 동물들을 위한 프라이탁의 작업을 소개합니다. 출처: NOTCOT 이것은 화물트럭의 짐을 덮는 방수포를 재활용해 만드는 가방 브랜드, 프라이탁(Freitag)입니다.화물트럭은 수많은 동물을 도로 위에서 희생시키는 찻길동물사고의 주범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프라이탁은 그렇게 죽어간 동물들을 부활시켰습니다. 출처: designboom 출처: NOTCOT 쥐, 새, 여우, 캥거루 등 그 종류도 다양한데요. 지난해에 프라이탁이 열었던 팝업샵에서 전시했고, 현장에서 직접 제작해서 가방에 달 수 있도록 나눠주기도 했습니다. 이렇.. [인포그래픽] '안녕, 구럼비' - 강정마을 제주해군기지 사건 흐름 현재 텀블벅을 통해 예약판매 중인 '안녕, 구럼비' 2013년 달력의 추가 구성품 중 하나인 인포그래픽 포스터를 소개합니다. 예약판매 시작 당시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서 간략한 내용만을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안녕, 구럼비' 인포그래픽 포스터는 이번 달력 구성품 중 가장 중점을 둔 작업물이기도 합니다. ㅣ 텀블벅에 달력 예약구매하러 가기 ㅣ 지난 5월부터 구럼비 바위에 서식하는 생물 12종을 담은 포스터를 통해 '안녕, 구럼비'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는데요, 처음 목적은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인한 피해를 알리는 것이었지만 정작 제주해군기지 건설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는 드리지 못해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그래서 달력의 추가 구성품으로 제주해군기지 건설 문제의 대표적인 이슈를 .. 인도네시아의 착한 건축물, 계수나무 협동 교육센터 베이킹 할 때 자주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는 계피가루입니다. 또 알게 모르게 커피를 마실 때나 생크림 얹은 빵을 먹을 때도 먹게 되는 것이 계피가루이고요. 바로 이 계피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이라고 합니다. 세계 공급률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지요. 하지만 수마트라섬의 계피생산 노동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저임금, 심지어 비위생적이고 안전하지 못한 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노동환경을 개선해보고자 노르웨이의 건축 사무실인 TYIN tegnestue Architects가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계수나무 협동 교육센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TYIN tegnestue Architects는 노르웨이에서도 활동하지만, 태국이나 우간다, 인도네시아 등의 빈곤과 .. 폐건축자재로 만든 오피스 가구 깔끔한 원목소재에 모듈 형식의 사무실 가구로 단정하게 꾸며진 사무실 전경입니다. 칸막이 중간 중간 육각형으로 구멍이 뚫어져있어 답답하지도 않고 직원들끼리의 원할한 소통까지 도울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저 잘 꾸며진 사무실 모습처럼 보일지 몰라도 이 가구들의 재료에 대해 알게된다면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보실 것 같은데요, 가구의 재료들은 모두 버려진 빌딩의 건축자재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이 가구를 만든 미국 오하이오주의 Adeo design이란 회사는 이 재료들을 어떻게 구할 수 있었을까요? 알고보니 안타깝지만 회생이 불가능한 극심한 경제침체로 13,000개의 건물이 폐허로 변하면서 이 재료들을 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도 모두 폐기 처분될 자재들이 이렇게 다시 이용될 수 있게 된 걸 다행이라 .. 자연흐름을 본뜬 주방디자인 자연흐름을 본떠서 디자인한 주방이 있어 소개합니다. Studio Gorm의 'Flow Kitchen'입니다. 자연과 기술이 통합되어 공생하고 있는 시스템의 'Flow Kitchen'은 에너지, 폐기물, 물, 기타 자연 자원들이 자연의 순환 원리에 따라 처리되는 프로세스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주방은 요리를 하는 작업 공간뿐만 아니라 자연의 순환 원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환경까지 제공합니다. 음식(식물)의 성장, 저장, 조리까지 모든 과정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죠. 방금 헹궈진 식기류의 물기들은 건조대에 걸쳐지게 되면서 바로 아래 자라고 있는 식물들에게 수분을 공급하게 되고, 그렇게 자란 식물은 수확해서 조리에 쓰이게 됩니다. 남은 음식물은 테이블에 장착된 그릇에 쓸어담아 뒤집기만 하면 손쉽게 .. 이전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