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owalk story

(2432)
한 등 빼기캠페인, 지구를 지키는 가장 쉽고 즐거운 방법!!! 컴퓨터 사용량이 많아 뻐근해진 목과 어깨의 긴장을 풀어주려 목을 뒤로 젖혀 천장을 올려다 보았습니다. 머리위에 전등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고개를 돌려보니 슬로우워크 디자인실 천장에는 총 5개의 전등이 있더군요. 그리고 2개의 책상에 개인용 스탠드가 놓여져 있구요. 생각해보니 개인용 스탠드가 달린 구역엔 전등이 필요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도 잠시 단 1분 만 투자해 눈을 들어 천장을 둘러보세요. 어디 하나쯤은 없어도 되는 전구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이 전구는 원래 없어도 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빼도 전혀 불편하지 않을 것이죠. 그렇게 전구 자체를 빼두면 전기 사용을 줄이자고 신경 써서 스위치를 끄는 수고도 아낄 수 있지 않을까요? 알고보니 전구를 빼는 효과는 믿을 수 없을 정도..
폐타이어, 그릇과 냄비로 부활? 폐타이어는 자연 분해가 되려면 10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세계 고무 폐기물 처리 문제 중에서도 폐타이어가 70%나 차지할 정도로 골칫덩어리인데, 유럽에서만 연간 300만 톤의 폐타이어가 나온다고 해요. 그 수많은 폐타이어는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요? 아이들 놀이터에 있는 타이어 의자로 재활용? 군용시설에 설치된 타이어들? 은근히 여기저기 활용되고 있긴 합니다만, 수많은 폐타이어들을 전부 처리하기엔 저 방법들은 역부족이죠. 그래서 곳곳에서 폐타이어를 처리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들이 나오고 있다고 하긴 해요. 오히려 폐타이어가 좋은 자원으로 쓰이기도 하고, 혹은 분쇄하여 나온 재생고무를 활용하는 가공이용법도 있다고도 하고요. 그 방법 중에 색다른 소재로 개발된 디자인 제품이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폐..
노인을 생활을 관찰하여 배려한 제품 디자인! 우리나라는 2009년에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전개되는 나라라고 하는데요, 노인들만을 위한 관심과 배려는 여전히 부족하지 않은가 생각해봅니다. 노인들의 생활을 자세히 관찰하고 세심하게 배려하여 디자인한 가구 컬렉션이 있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디자인 스튜디오 'Lanzavecchia + Wai'는 최근, 거동이 불편하고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들을 위해 이동성과 시야확보를 도와줄 수 있는 'no country for old men'이라는 가구 컬렉션을 발표했습니다. 전문 가구 상점이나 의료 용품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었던 기존의 노인들을 위한 가구들은 기능만을 중시했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는 개성이 없고 세련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지요. 그래서 'Lanzave..
시민참여, 당신은 올바르게 하고 있나요? 언제부터 '참여'라는 단어가 부담스럽지 않게 느껴지기 시작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민주주의의 핵심이라는 '참여'가 그렇게 만만한 상대는 아닐텐데 말입니다. 많은 곳에서 참여라는 말을 자주 들으니 저도 모르게 익숙해진것 같습니다. 길을 걷다가 '설문지 작성해 주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참여하고 가세요~' 라는 말이나 TV 쇼 프로에서 '시청자의 제보와 참여를 기다립니다.' 는 글귀에는 매일 노출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처럼 소셜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공공기관이든 사기업이든 시민과 소비자 (여기에서는 이해관계자라고 표현하겠습니다.)의 참여의 키워드를 경쟁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여가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정부에서 하는 설문조사에 시민을 참여시키면 그것은 민주주의의 시민 참여라고 말할 수 있을까..
작지만 알차다, 싱글족을 위한 미니하우스!! 요즘 싱글족이나 2인가구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체 가구중 1-2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좁은 집에 들여놓은 큰 가구들로 인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좁은 공간에서도 작지만 편안하게 지낼수 있는 매력적인 집을 소개합니다. 이 집은 독일의 Van Bo Le-Mentzel 이라는 디자이너가 만든 미니 하우스입니다. One SQM House(one square meter)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요. 이 집은 사무실, 침실 그리고 상점..
고객들이 만드는 스타벅스, My Starbucks Idea 이런 메뉴가 있으면 좋겠다! 직원들이 이렇게 해주면 좋겠다! 포인트 적립을 해주면 좋겠다! 카페나 레스토랑을 이용하다보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대부분 고객의 입장이다 보니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받고 그에 대한 금액을 지불하고 가게를 나가게 되죠. 제시한다고 해도,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것 보다는 불만사항을 이야기하는 정도에 그치게 됩니다. 하지만 고객이 아이디어를 내고, 그 아이디어를 고객이 투표해서, 실제로 적용되는 곳이 있다면? 그 주인공은 바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스타벅스”인데요. 2008년 스타벅스는 “마이 스타벅스 아이디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런칭했습니다.(http://mystarbucksidea.force.com/) 이 사이트는 간단한 4가지 규칙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S..
QR코드로 노숙자에게 기부를! '음... 노숙자에게 기부를?' 다소 거부감부터 드는 게 사실일겁니다. 서울역이나 영등포역을 가보면 어렵지 않게 만취해 있는 노숙자들과 마주칠 수 있는데요, 안쓰러운 마음에 직접 현금으로 주면 술값으로 다 탕진해버리니 기부해봤자 허무할 뿐이죠. 그러나 이러한 부작용을 해결하려 하면서 노숙자를 좀 더 효과적으로 도우려 했던 이색적인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영국의 자선 단체 ‘사이먼 온 더 스트릿(Simon on the Street)’의 노숙자를 위한 QR코드 기부 캠페인입니다. 길거리에 QR코드가 인쇄된 종이 박스가 놓여있고, 노숙자를 위한 기부를 하고자 이를 스캔하면 바로 기부 페이지가 연결돼 시민들이 직접 거리에서 이 자선단체에 기부를 할 수 있습니다. 실제 노숙자들을 연상시킬 수 있는 비닐 봉투와 담요..
올림픽도 친환경으로! 세계인의 축제, 런던올림픽 개막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하나의 삶을 모토로 내건 이번 올림픽에는 전 세계 203개 나라 10500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해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감동의 드라마를 펼칠 예정입니다. 지난 2008년 심각한 스모그로 악명을 떨친 중국 베이징올림픽이 끝난 뒤, 다음 개최국 영국은 런던 올림픽을 최고의 '친환경 올림픽'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번 런던 올림픽 경기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환경을 생각한 경기장들이 더 있다는 사실 알고계신가요? 여기 우리를 놀랍고 즐겁게 해줄 10곳의 친환경적인 경기장들을 소개해드립니다. 1. 멜버른 직사각형 경기장 (Melbourne Rectangular Stadium) 경기장은 거품을 연상케 하는 독특한 외관으로 되어있다.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