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432)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외 디자인 스튜디오 워크 프로세스! 지난주 슬로워크에서는 디자인워크프로세스 (Design Work Process)라는 주제로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그때 조사했던 해외 디자인 스튜디오 사례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1. 잉카후츠 (Inkahoots) 1990년도에 설립된 호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스튜디오입니다. 이곳의 업무 방법은 첫 번째 담당자를 결정하는 것인데, 몇 명이 할지 누가 이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지를 고려한다고 합니다. 결정이 난후, 미팅과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자연스럽게 자료조사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주 애기하면서 콘셉트를 발전시키는데 이곳만의 회의방식은 ‘느슨하고 제약 없이’ ‘코미디를 넘나드는’ 이라고 하네요. 딱딱한 의자에 빙 둘러앉아서 정해진 시간에 회의를 하기보단 이렇게 자유롭게 편안하게 소통.. <공공브랜드> 뉴욕시의 시민참여 플랫폼 "change by us" 오늘은 Give A Minute (GAM) 란 이름으로 시카고에서 처음 시작한 시민 참여 플랫폼의 한 종류를 소개해 볼까 합니다. 뉴욕시의 시민 참여 플랫폼 "change by us" 입니다. "change by us NYC" 는 뉴욕시에서 운영하는 시민참여 플랫폼의 이름입니다. 더 나은 뉴욕시를 만들기 위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프로젝트를 만들어 내며, 자원을 공유하는 공간인것 이죠. 뉴욕커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프로젝트를 만들면 원하는 사람들이 참여하게 됩니다. 그후로 프로젝 트를 꾸리기위한 여러가지 자원 (지식, 펀드 등)도 NGO나 공공기관을 통해 마련할 수 있도록 시에서 연결해 주는 플랫폼입니다. 포스트잇에 나의 아이디어를 남기면 아이디어 보드에 나의 아이디어가 추가됩니다. 물론 모바일같은 다른.. 아프리카의 희망이 되는 WaterWear가방! 아직도 세계 인구의 40% 이상은 물부족으로 인해 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프리카에서는 여성과 아이들이 물을 얻기 위해 매일 평균 5.6km를 걷는다고 합니다. 길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여성과 아이들에게 척박한 환경 속에서의 물 운반은 삶과 죽음의 문제일 수 밖에 없겠지요. 특히 기존에 사용하던 물통은 살충제나 유해 화학 물질을 담았던 플라스틱 통으로, 운반 중에 물이 오염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오하이오의 산업 포장 제품 생산 회사인 Greif가 물을 운반하기 위한 WaterWear가방을 개발하였습니다. WaterWear가방은 낮은 비용으로 육체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고 하는데요, 기존의 방식은 플라스틱.. [인포그래픽] 착한 기업이 돈도 잘 번다! 세계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63%는 수익을 낸다! 어떻게 알 수 있었을 까요? 슬로워크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복잡한 통계가 아닌 한장의 인포그래픽을 통해 간단히 알았는데요. 오늘은 사회적 기업의 복잡한 통계를 한장의 인포그래픽을 통해 소개해 볼까 합니다. 첫번째는 사회적 기업의 특징과 그들이 창출하는 가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여러분은 사회적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내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사회적 기업은 그 수익을 원조나 기부의 방식보다는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서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또한 단편적이고 즉각적인 결과 보단 오랜기간의 변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따라 전 세계적으로 63%의 사회적 기업이 수익을 내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연간 백만달러 이상의 수익 과 평균 18명의 종업.. 건강검진표, 조금더 쉽게 볼수는 없을까? 사회인이라면 한번쯤 건강검진을 한 뒤, 그 결과를 정리한 검진 표를 받고 당황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으아니,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여?” 온통 어려운 말 투성이에, 빽빽하게 채워진 표와 휘갈겨 써진 의사소견. 내 몸이 건강한 건지, 문제가 있는 건지, 얼마나 안 좋은 상태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데요, 이러한 사실에 문제점을 느끼고 혈액 검사지를 리디자인한 혁신적인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그 주인공인 미국의 토마스 고츠는 얼마 전 TED라는 공개 강연에서 의료정보를 디자인해야한다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병에 대한 두려움을 주는 것이 앞으로의 행동변화에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이야기 합니다. 즉, 겁을 준다고 해서 사람들이 운동을 시작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죠. .. Know Canada 캠페인, 변화하는 캐나다의 국가 브랜드! 여러분은 '캐나다'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혹시 단풍잎, 비버, 하키 중에 하나를 떠올리시지는 않았나요? 어쩌면 캐나다는 우리에게는 고정된 이미지로 오랫동안 기억되어 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나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기억된다는 것은 국가의 특성이 뚜렷하다는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는 지루하고 특별할 것이 없다고 느껴질 수 있는 단점이 될수도 있지요. 더욱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캐나다에서는 조금 억울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이러한 국가의 문화적 아이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캐나다의 혁신 스튜디오 '브루스 mau 디자인'과 '스튜디오 360'의 커트 안데르센은 캐나다 브랜드를 재설계하는 작업인 'Know Canada'를 진행했습니다. 그렇다면 20세기와 21.. 바다속 방송국, 해양생태계를 소개합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상상속에서, 동화속에서, 바다속 삶을 꿈꿔왔습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차츰 아름다운 바다속 환경이 오염되어 가고 있는 지금, 바다를 지키기 위해 바다속 삶을 택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병자리 암초 기지(aquarius reef base)는 플로리다 해안 60피트 수중에 위치해 있는데요. 바다생물과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바다속 산호초와 전반적인 환경문제에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바다 밑에 사는 흥분과 영감을 공유하기 위해 바다속 생활을 방송을 통해 전세계에 방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 과학캠프, 수족관, 기타 교육시설에 방송자료를 제공합니다. 여성 탐사자로서는 최초로 해저 탐사팀을 이끌었던 실비아 얼(Dr. Sylvia Ear.. 선박 컨테이너를 재활용한 암스테르담의 학생 기숙사! 여기 다소 특이한 소재로 만들어진 아파트가 있습니다. 화려한 컬러의 옷을 입고 있지만 사실은 폐기된 선박 컨테이너를 재활용해 만들어진 아파트 단지이지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복잡하고 붐비는 것은 여느 도시나 다 마찬가지겠지만 특히나 네덜란드의 도시 암스테르담은 주택 문제가 심각하기로 악명이 높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암스테르담에서 저소득층, 특히 학생들과 같이 경제적으로 집을 구하기 어려운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안으로 만들어진 모듈형 컨테이너 기숙사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암스테르담의 학생 기숙사는 학생들이 일반적인 집보다 경제적이지만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컨테이너 집에 관한 편견을 없애고자 하였습니다. 선박 컨테이너의 내부는 소형.. 이전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