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432)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버님 동네에 미니 도서관 하나 놔드려야겠어요~ 미국 중북부에 위치한 위스콘신의 한 마을. 이곳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이 등장했습니다. 사회적기업 Little Free Library가 만든 이 초미니 도서관에서는 책을 빌릴 때 회원가입을 할 필요도, 도서관 카드를 낼 필요도 없다고 하네요. 이 도서관의 설립자는 토드 볼(Todd Bol)과 릭 브룩(Rick Brook). 기업가로서 국제적인 사업 경험을 쌓아왔던 이 두 사람은 2009년 녹색기술 보급과 관련된 사업장에서 처음 만났고, 건강한 지역사회의 중요성에 대한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공유하며 미니 도서관 보급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이후 미니 도서관의 설립을 위해 도서관 건물(?) 제작자와 마케팅 담당자, 출판업 종사자 등의 활동가들이 참여해 그 규모와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지요. .. 4.11총선, 녹색세상을 위한 친환경정책을 지지합니다! 엊그제 포스팅에서도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는데요, 19대 국회의원선거를 하루 앞둔 오늘, 후보자들의 공략들 찬찬히 훑어보셨나요? 이번 선거는 우리가 살아갈 환경과 삶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하는 사람을 뽑는 중요한 일입니다. 우리 모두가 바라는 녹색세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생활 속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재활용을 잘하고... 매일매일 집, 직장, 학교, 공공시설 등 여기저기서 우리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요. 그리고 필요한 또 하나. 바로 녹색세상을 이루기위한 정치적인 노력입니다. 슬로워크도 녹색세상을 위해 느리지만 꾸준한 걸음을 걸어오고 있습니다. 2008년부터 슬로워크에서 진행하고 있는 I vote for green(아이보트포그린) 캠페인은 녹색 정치에 투표하겠다는 의지와 선언을 이.. 투표율, 디자인으로 바꿔볼까? 다가오는 4월 11일, 19대 국회의원선거를 치르는 날입니다.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민으로서의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날인데요. 지난 2008년 치러진 제18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은 46.1%였다고 합니다. 우리가 살아갈 환경과 삶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하는 사람을 뽑는 일에 반이 채 미치지 못하는 참여율은 조금 안타깝습니다. 경험디자인 전략으로 유명한 디자인 컨설팅 전문회사인 IDEO의 아이디어 공유 플랫폼인 OpenIdeo에서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의 투표 참여를 높이는 경험을 디자인할 수 있을까?'를 주제로 여러 사람들이 아이디어를 올렸습니다. 총 154개의 아이디어가 모였고, 그 중 11개의 아이디어가 베스트로 선정되었습니다. 베스트로 뽑힌 11개의 아이디어 중 몇 .. 4월 11일, 투표하세요 디자인이라는 단어가 난무한지는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디자인도 그저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을 쫓는 것이 목적이 될 때가 있습니다. 디자인이 진정한 행동 변화를 위한 수단이 되기를 바라며.. 슬로워크를 방문하시는 여러분, 4월 11일에 투표로 삶을 디자인합시다! 사진출처: 안상수 선생님 페이스북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삭막한 도시골목에 부는 따뜻한 봄바람 "착한부동산 골목바람" 아직은 쌀쌀한 바람이 머물지만, 따뜻한 햇볕이 봄을 말해주는 4월 입니다. 봄이 오고, 입학과 결혼 시즌이 되면서 주말이 되면 앞집 옆집에 이사짐 나르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요, 자취 8년차인 저 나무늘보도 처음 서울에 올라와 집을 구하러 다니던 때가 생각이 나네요. 혼자만의 공간이 생긴다는 설레임은 잠시, 어마어마한 서울의 집값 시세와 삭막한 동네 풍경은 막막함과 두려움으로 바뀌었죠. 서울에는 저처럼 지방에서 올라와 혼자서 객지생활을 하는 젊은이가 많습니다. 학업과 취업 때문에 서울로 올라온 청년층들은 저렴한 방이 절실하고, 월세가 수입의 40-50퍼센트가 되어버리는 현실에서 주거문제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이런 청년층의 주거고민 해결에 힘을 보태고자, 삭막한 도시골목에서 사람의 온기를 지키고자 .. 물렁해진 바나나, 100% 활용법 5가지! 얼마 전 에 대한 포스팅을 기억하시나요? 청소를 할 때, 또는 그릇 등을 세척할 때에 화학제품 대신 다양한 과일껍질을 용도별로 활용해 친환경적인 생활을 실천하는 법에 대해 다루었었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바나나 활용법에 대해 좀 더 다루어볼까 합니다. 탄수화물과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한 바나나는 열량에 비해 포만감이 크고 식물성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바쁠 때에 식사대용으로도, 또 변비 예방에도 좋은 과일인데요, 맛은 초록색에서 노란색으로 익어가면서 당도가 높아져 더 좋아진다고 합니다. 특히 겉면에 조금씩 검은 반점이 생길 때에 당도가 가장 높아 맛있다고 하네요. 칼슘 섭취를 돕는 프락토올리고당이 풍부해 바나나 두개와 우유 하나를 같이 먹을 경우 간편하게 식사대용으로도 좋습니다. 이렇게 지나치게 달거나 시지.. 강정마을 구럼비, 그리고 지켜주지 못한 그곳의 생명들 슬로우워크에서는 2011년 4대강 멸종위기종 프로젝트 '안녕'에 이어 강정마을과 구럼비 생명들의 이야기를 담은 또 하나의 '안녕'프로젝트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그들의 오랜 친구였을 마을 사람들과 '안녕'이란 인사도 나누지 못한 채 그들의 동의도 없이 사라져가고 있는 제주도의 소중한 생명들. 민주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강정마을의 생명, 풍경, 사람 모두를 바꾸어 놓은 해군기지. 분명한 것은 구럼비에는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수많은 생명과 수없이 큰 가치가 존재해왔을 것입이다. 그 모두를 담을 수 없음에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주시는 의견을 수렴하여 더욱 많은 가치와 아름다움을 담을 프로젝트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맹꽁이 붉은발말똥게 나팔고둥 따개비 제주새뱅이 방풍초 갯까치수영 층층고랭이 돌.. 오늘은 종이 안쓰는날, No Paper Day!! 재작년 2010년, 슬로우워크에서 자체적으로 제작, 배포한 인포그래픽 포스터가 있었습니다. 기억하시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종이의 가치와 환경부하를 생각해 만들었던 "save the paper". 30년생 나무 한그루가 우리에게 주는것, 10,000장의 종이 종이 1장을 위해 필요한 것, 10리터의 물 종이 1장이 남기는 것, 2.88g의 탄소 과연 우리는 하루에 얼마만큼의 종이를 쓸까요? [RISI 'Annual Review 2010년판'] 최근 세계적 펄프-제지 전문조사기관인 RISI에서는 2010년 세계 국가별 1인당 연간 종이소비량을 발표했습니다. 네, 우리나라는 상위권입니다. 조사한 국가 174개 국가중 13위이니까요. 전세계 1인당 연간 종이 사용량 평균은 57kg 입니다. 한국은 표에서 보는 .. 이전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