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스터슬로 vs 슬로워커] 라운드 2. CSO와의 기업 아이덴티티 암기 대결 슬로워크는 지난 1월, 6개월의 과정을 거쳐 조직 아이덴티티를 수립했습니다. 그 과정을 주도한 CSO(Chief Sustainability Officer)가 미스터슬로에게 대결을 신청했습니다. “후후… 슬로워커라면 누구나 조직의 아이덴티티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지. 가위바위보에서는 억울하게 졌지만 아이덴티티 암기는 나를 이길 수 없을 걸?” 슬로워크의 아이덴티티가 무엇인지 한번 다시 볼까요? 미션, 가치, 비전, 전략… 이것을 다 겨루기에는 내용이 많아서 그 중 미션과 비전만 가지고 겨루기로 했습니다. 먼저 CSO가 도전합니다. 미션 먼저. [미스터슬로 vs 슬로워커] CSO와의 기업 아이덴티티 암기 대결 (미션) from Slowalk on Vimeo. 오… 4초입니다. 연습 많이 했나본데요? 그 다음.. [미스터슬로 vs 슬로워커] 라운드 1. 가위바위보 고수와의 가위바위보 대결 프롤로그: 대결을 시작한 미스터슬로의 사연 작년 이맘때, 슬로워크는 새로운 대표이사를 맞았습니다. (관련 글: [안내] 슬로워크 신임 대표이사 취임) 대표이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온 1년, 미스터슬로(Mr. Slo)는 늘 슬로워커의 곁에 있었습니다. 그는 필요한 정보를 늘 가장 빠르게 제공해주었습니다. 때로 외면하거나, 사라지기도 했지만요. 인공지능 미스터슬로, 슬로워커에 도전장을 내밀다 365일 24시간 내내 슬로워커의 문의와 관심에 시달리던 미스터슬로는, 어느 날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 정도 능력이면 슬로워커(사람)를 훨씬 뛰어넘을 수도 있다. 이제 조금 덜 겸손해지자. 보조적인 일은 그만하고, 슬로워커들과 맞서서 나의 우위를 점해야 겠다.” 이때부터 미스터슬로의 무작위 대결 신청이 시작되었습.. 80년 된 감나무 집의 변신, 가키노 기노시타 갤러리! 사라지고 생기는 많은 건물, 빠르게 바뀌는 번화가 속에서 낡고 오래된 집을 지키기는 쉽지 않을텐데요. 도심 속 80년 된 일본식 민속 가옥을 아트 갤러리로 새롭게 변화 시킨 '가키노 기노시타(Kakino-Kinoshita)'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합니다. 최근 몇 년간 토코로자와 역 주변의 고층 아파트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고, 지역의 주요 거리는 프랜차이즈 매장으로 붐비었습니다. 이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란 ‘곤다(Kazushi Gonda)’ 씨는 지역의 이러한 변화를 안타깝게 지켜보다, 80년 된 오래된 집을 사 지역의 문화예술을 보존하기 위한 갤러리로 리모델링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80년 전통의 이 집은 미장 장인이었던 ‘기노시타(kinoshita)’ 씨가 지은 집이라고 하는데요. 새롭게 이 집을 ..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쉽게 그리고 성공적으로 시작하는 방법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관리자라면 한 번씩 내가 올린 글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검색되길 바랍니다. 이미 우리 홈페이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우연히 글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구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검색엔진을 통해서 홈페이지로 유입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홈페이지에 올리는 콘텐츠들이 검색엔진에서 잘 검색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에서 상위에 표시되게 하는 대책을 말합니다. 검색엔진을 이용해 정보를 찾는 사용자는 보통 검색 결과에서 1~2페이지, 많아야 3페이지 정도 밖에 확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더군다나 스마트폰에서는 페이지 로딩 시간이 있기 때문에 2페이지 이내를 넘.. 좋은 이메일 뉴스레터 디자인 파헤치기 <1>헤더편 이메일 뉴스레터 얼마나 자주 접하나요? 자주 가는 사이트를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여행정보, 쇼핑정보, 문화 정보 등 각자의 취미나 관심사에 맞는 뉴스레터를 받아봅니다. 하루에도 수십 통씩 쌓이지만 읽지 않고 바로 휴지통에 버리게 되는 이메일 뉴스레터. 이 많은 이메일 중에도 꼭 열어보게 되는 뉴스레터가 있습니다. 사용자의 입장도 생각하면서 디자이너의 마음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뉴스레터 디자인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3회에 걸쳐 좋은 뉴스레터 디자인을 머리부터 발끝까지(부터 까지) 살펴볼 예정인데요. 처음으로 파헤칠 이메일 뉴스레터는 뉴스레터의 머리, 헤더부분입니다. 헤더부분은 이메일이 시작하는 도입부이면서 가장 적은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막상 뉴스레터를 만들려고 손을 대면 가장 머뭇거리.. 완전한 생태 공동체를 꿈꾸다, 사다나 포레스트 완전한 생태적 삶을 꿈꾸는 공동체, ‘사다나 포레스트(Sadhana Forest)’를 소개합니다. 인도의 오로빌 마을(Auroville Village)에 독특한 공동체가 하나 있습니다. 크고 작은 여러 개의 오두막 사이에는 태양광 발전기가 있고, 사람들은 매일같이 나무를 심으며, 유기농법으로 작물을 재배합니다. 13년 전, 오로빌 외곽의 황무지 70ac(약 28만m²)를 숲으로 바꾸기 위해 지속 가능한 생태적 공동체를 창설한 심리학자 부부 요릿(Yorit)과 아비람(Aviram)의 ‘사다나 포레스트’입니다. 사다나 포레스트는 10개 정도 되는 오두막(Hut)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100여 명이 모여 식사를 할 수 있는 메인 오두막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숙소와 부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재는 모두.. 성별 구분에 의문을 던지는 어린이 게임 앱 여러분은 어렸을 때, 주로 어떤 놀이를 즐겼나요? 남자라면 레고나 로봇, 미니카를, 여자라면 바비 인형이나 주방놀이, 고무줄 등을 떠올릴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남자아이는 주방 놀이에 1도 관심이 없을까?’‘남자라고 고무줄을 끊는 놀이만 하고 싶었을까?’‘여자애는 정말 로봇을 싫어할까?’ 뭐 이런 생각들 말입니다. 혹시 놀이에 대한 남녀의 구분이 너무 당연해서 우리가 의심조차 하지 않았던 건 아닐까요? 그럴지도 모릅니다. 지난해 말, 세계적인 장난감 회사인 토이저러스(ToysRus)의 영국 사이트는 사회적 압력에 따라 사이트상의 카테고리에서 남/여아 구분을 삭제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미국 등 대부분의 글로벌 사이트에는 여전히 남/여아의 필터가 존재합니다.(왼쪽부터 토이저러스 영국, 한.. 슬랙봇으로 슬랙 200% 활용하기 슬로워크에서는 업무상 커뮤니케이션에 슬랙(Slack)을 자주 사용합니다. (참고: 업무용 메신저 슬랙(Slack), 슬로워크는 이렇게 사용합니다.) 슬랙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앱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업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슬랙봇(slack bots)을 소개합니다. 봇(bot)이란? 봇은 인간이 하는 행동을 흉내내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엔진의 웹 크롤러는 웹 사이트 정보를 자동으로 읽어들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며, 이외에도 인터넷 채팅에서 자동 응답을 하도록 만든 채터봇 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출처: 위키백과)주의: 아래에서 소개하는 봇은 영어만 할 줄 압니다. 한국어를 할 줄 아는 봇도 나오면 좋겠네요. 일정, 할일 관리: Meek..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