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를 찾는 시간, 슬로워크 안식월! [입사 3년 차 증후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직장인들이라면 공감하는 것이 있죠. 바로 주기별로 ‘울컥’ 찾아오는 권태감입니다. 보편적으로 이 권태감은 입사 후 3년 즈음 맞닥뜨리게 된다고 합니다. 이 당혹스럽고 고민스러운 시간, 여러분은 어떻게 극복하고 계시나요? 슬로워크는 구성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와 제도를 함께 만들고 있습니다. 그 중 구성원들이 가장 즐거워하고, 자랑스러워 하는 제도가 바로 안식월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안식월은 일정 기간 근무한 구성원에게 지급되는 장기 유급휴가로 쉽게 말하자면, “그동안 너무 고생했어요! 푹 쉬고 다시 힘 얻어서 열심히 일해요!“ 라고 할 수 있겠죠. 슬로워크에서는 2014년도에만 총 5명의 구성원이 안식월을 보내고 돌아왔고, 또 보내.. 건강한 식단을 만드는 접시 여러분은 매끼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계신가요? 바쁜 생활속에서 밥을 기본으로 동물성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포함한 반찬을 고루 먹는 이상적인 식사를 하기란 쉽지 않을 텐데요. 접시 하나로 건강한 생활 습관과 과식을 방지할 수 있는 ETE접시를 소개합니다. ETE는 음식의 종류별로 섭취해야 하는 적절한 양을 그래픽으로 제시합니다. 파이그래프가 연상되는 접시에는 다양한 음식을 담아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선으로 영역이 구분이 되어 있는데요. 감자, 파스타, 밥을 담을 수 있는 가장 넓은 탄수화물 영역을 포함한 야채, 고기, 혼합 영역, 그리고 아무런 글자도 쓰여있지 않은 나머지 한 영역은 음식을 이동하기 쉽도록 비어져 있습니다. 한 끼 식단에 야채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것을 실천.. 내가 오늘 먹은 음식은 몇 점? 요즘 건강한 먹거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죠. 시중에 파는 먹거리를 살 때 영양성분을 꼼꼼히 살펴보거나, MSG(화학조미료) 첨가 여부, 글루텐 등 따져보아야 할 요소가 너무 많습니다. 영양사가 아닌 이상 완벽하게 좋은 음식을 고르기란 쉽지 않죠. 그래서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좋은 음식을 구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미국의 환경 연구단체 EWG(Environment Working Group)에서 재밌는 앱을 개발했다고 하는데요, 음식 점수를 알려주는 앱 '푸드스코어스(Food Scores)'입니다. 사실 포장 디자인만 보고 사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NO 방부제', '천연조미료 첨가', '글루텐 프리', '색소 無첨가'라는 문구가 제품 이름만큼이나 비중있게 쓰여져 있어 믿고 사게 되죠. 하지만 과장된 디.. 미래에서 온 엽서는 무엇을 보여줄까?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를 생각하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시나요? 물에 잠긴 동남아 지역, 사라진 나무로 황폐해진 숲을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많은 사람이 사는 대도시의 모습은 어떻게 변할까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은 런던의 모습을 담는 프로젝트, 미래에서 온 엽서(Postcards from the future)를 소개합니다. © Robert Graves and Didier Madoc-Jones 영국 아티스트 Robert Graves씨와 Didier Madoc Jones씨는 버킹엄 궁전, 국회의사당 등, 런던의 관광 명소를 기념품 엽서에 나올만한 모습으로 촬영하여 미래의 모습으로 재탄생 시킵니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은 모습으로 말이죠. 해수면 상승, 기온의 변화 등 다양한 기후변화의 모습을 담은 엽서 사.. 걸음걸이를 타이포그래피로 구현한 <한걸음> 달력 “삶의 걸음과 인생의 시간은 나란히, 그리고 평행하게 걸어갑니다.” 한걸음 달력은 2014 하반기 슬로워크 버닝데이에 출품한 달력입니다. 누구에게나 공정한 시간, 그러나 누구에게나 같은 양의 시간이 주어지지는 않습니다. 삶의 걸음과 인생의 시간은 나란히, 그리고 평행하게 흐릅니다. 때론 빠르게, 때론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는 않습니다. 내가 걸어가는 시간에도 변하지 않을 시간을 기록해 줄 달력, 그 걸음걸이에 힘을 주고 위로가 될 수 있는 달력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전구상 달력이라는 매체의 속성을 곰곰이 생각해보았을 때, 얻은 결론은 '기능'에 충실할 것과, 그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불편하게 하지 않는 선에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콘텐츠'적인 요소, 이 두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소리 없는 메아리, <가리왕산> 달력 소리 없는 메아리, 가리왕산은 지난 금요일 버닝데이에 출품된 달력 중 하나로 가리왕산의 현재를 알리기 위해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500년 원시림 가리왕산. 그곳은 지금 2018 평창올림픽 단 3일을 위해 나무와 식물들이 베어져 가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슬로워커들이 가리왕산을 직접 다녀와 그 심각성을 잘 알 수 있었는데요. 지금 이 시점에 우리는 진정한 가치를 생각하고, 그 가치를 알리기 위해 가리왕산을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슬로워커, 가리왕산 보고 바로가기> 가리왕산은?세종 때부터 왕실에 바치는 산삼 채취를 위해 봉산(출입을 금지한 산)으로 나라가 관리하면서 500년 이상 훼손되지 않은 우리나라 유일의 원시림입니다. 사시나무, 왕사스레 나무, 백작약 등 국내 최대의 신갈나무가 있으며, 우리나라 .. 지난해와 올해를 이어주는 <어제 오늘> 달력 들어가며 달력은 슬로워크 2014년 하반기 버닝데이에 출품된 달력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의 기억을 되새길 수 있는 달력”, “작년의 나와 지금의 나를 확인할 수 있는 달력”을 만들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사진에서 얻은 작은 아이디어 의 아이디어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위와 같은 사진에서 출발합니다. 현재의 사진에 과거의 사건이 겹쳐 있는 사진을 보며 우리는 과거의 그 사건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긴 시간의 차이를 두고 같은 구도로 찍은 가족사진 역시 과거의 즐거운 기억을 되새길 수 있는 좋은 매개체이죠. 오늘을 살며, 어제를 기억하자 우리는 오늘(현재)을 살아가지만, 여전히 잊지 말아야 할 어제(과거)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것들은 잊힙니다. 특히나 정보의 홍수, 다양한 매체에 노출된 지금.. 2015년 달력을 하루만에 만든다? 슬로워크 2014 하반기 버닝데이 지난 금요일, 슬로워크에서는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특별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하루 동안 각 팀의 아이디어를 구현해내는 '버닝데이(Burning Day)'가 지난해 11월, 올해 6월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되었습니다. > 2013년 버닝데이 > 2014년 상반기 버닝데이 디자인회사의 특성 상 슬로워커들이 하는 대부분의 작업이 클라이언트 잡(client job)입니다. 반복되는 작업에 자칫 지치기 쉬운데요, 스스로 기획부터 제작까지 맡아봄으로써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고, 그간 공동 작업을 해보지 않은 다른 슬로워커와 협업해 보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버닝데이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버닝데이에서는 인포그래픽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2015년 달력 만들기를 목표로 세웠습니다. 한 팀에 3~4명 씩 모두 7팀..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