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253) 썸네일형 리스트형 Stupid Orchestra, 가전제품 교향곡!!! 8년이란 긴 준비 끝에 완성된 Michael Petermann‘ s Blödes Orchester. 우선 감상해 보실까요? 약 200여 가지의 가전제품의 소리가 합쳐져 하나의 교향곡을 만들어내는 영상. 조금은 어뚱한 발상이기도 하지만 생각보다 절도있는 소리의 조화가 제법 잘 어울리는 느낌인데요? Michael Petermann는 독일의 작곡가겸 하프시코드 연주자로 약 8년에 걸쳐, 디자인,기술,예술을 통합시킨 작품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1912년에서 1975년 사이에 생산된 가전제품만 사용되었다는 것 입니다. 자세히 보면 그 시절 예쁜 디자인으로 많은 인기를 누렸던 Braun사의 Aromaster, 면도기 그리고 Miele사의 세척기 등 과거의 제품 모습들이 살짝살짝 보입니다. 현.. 텀블벅, 독립적인 예술 활동을 위한 온라인 펀딩 플랫폼 참신한 아이디어, 혹은 시작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지만 부족한 주머니 사정 때문에 시도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독립적인 예술활동을 위한 온라인 펀딩 플랫폼, 텀블벅 웹사이트를 방문해 보세요 :-) 디자인, 영상, 영화를 전공하는 네 명의 학생들이 기획하고 시작한 텀블벅은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독립적이고 창조적인 프로젝트를 알리고 사람들에게 재정적인 후원을 받아 실현시킬 수 있도록 매개체가 되어주는 공간입니다. 누구든 자신의 프로젝트를 텀블벅 운영진과의 협의를 통해 등록한 뒤, 텀블벅을 통해 충분히 홍보하고 프로젝트에 필요한 재정 목표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텀블벅 웹사이트를 방문한 후원자들은 텀블벅에 등록된 프로젝트를 보고 참신한 프로젝트에 자유롭게 후원을 할 수 있고요. 재정 후원은.. 아이폰은 얼마나 친환경적일까? 2007년 6월 처음 판매가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1억개 이상 판매된 아이폰. 지금 슬로워크의 블로그를 아이폰으로 읽고계신 분들도 많을텐데요,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구매되고, 사용되고, 또 버려지기도 하는 아이폰의 친환경성은 어떨까요? 애플에서도 자체적으로 환경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 또한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지만, 각종 휴대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Geekaphone이라는 웹사이트에서 아이폰의 친환경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복잡한 숫자로 쓰인 보고서가 아니라 이해하기 쉬운 인포그래픽으로요. 영어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위의 인포그래픽에 나타난 결과들을 한글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 중국의 노동자 30만명이 하루 10달러 이하의 임금을 받으며 아이폰을.. 숨 쉴 수 있는 집안, 'CHULHA' 세계보건기구는 연간 160만명의 인구가 실내매연으로 인해 죽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계의 공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 중 25%는 인도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한 이런 비슷한 문제로 죽어가는 신생아가 약 80만명이나 된다고 하니 마음 아픈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빈곤국가나 개발도상국의 가난한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데요. 대부분의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은 집안에서 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나무나 다른 연료들에서 나오는 안좋은 매연과 독성물질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도와줄 수 있는 해결책을 Philips Design에서 만들었는데요. 그것은 바로 'CHULHA'라고 불리는 요리용 화덕입니다. 인도어로 '오븐'을 의미하는 CHULHA는 우리나라의 시골에서 볼 수 있는 아궁이.. 애니메이션으로 그린 휴대폰의 운명!!! 눈만뜨면 새로운 휴대폰이 출시되는 요즘. 새로 산지 얼마 안되었지만 금~방 업그레이드 버젼이 등장하게되죠. 트렌드에 예민하고,새로운 물건에 민감한 얼리어답터들은 휴대폰을 자주자주 바꾸시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인지 연간 1400만대의 폐휴대폰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중에선 겨우 300만대 정도가 수거되고, 나머지는 각 가정의 깊숙한 서랍속에 머무르거나 쓰레기통으로 직행한다고 하네요. 그렇지만 쓰레기통으로 직행한 핸드폰에는 납, 카드뮴 등을 포함한 오염물질이 들어있어 환경에 유해하다고 합니다. 물론 인체에도 굉장히 좋지 못하구요. 그런반면 재활용가치가 높은 금,은,동 들도 들어있단 사실!!! 그래서 그냥 버려지게 된다면 이런 귀중한 자원들도 함께 버려지게 되는 것이죠. 휴대폰 1대에는 금0.034g, 은0... wireless 스프 한그릇 어떠세요!? 애플 아이폰과 같은 첨단기기 등장으로 대변되는 기술혁신의 사회.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제품, 기술 등을 생산되고 있습니다. 왠지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그것을 빨리 수용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격차를 더 벌려놓는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기술의 활용, 그 격차와는 상관없는 조금은 일상적인(?) 제품이 나왔다고 합니다. 평소 우리 식생활과 최첨단기술의 융합이 탄생시킨 냄비와 스토브가 필요 없는 인스턴트 스프입니다. 이 스프는 캠벨사가 만든 Wireless soup라고 합니다. 스프가 Wireless?? 얼핏보면 일반 인스턴트 스프와 다를 바 없어 보이는 이 제품은 ecoupled 라는 첨단기술로써 데워지고, 요리 됩니다. ecoupled란 미국의 Fulton Innovoti.. 해외 유명 친환경 블로그에 소개된 '남산 전기버스'~!! 해외 유명 친환경 블로그 '인해비타트(inhabitat.com)'와 '트리허거(treehugger.com)'에 세계 최초로 상용 운행되는 우리나라의 전기버스를 소개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인해비타트 기사원문 | 트리허거 기사원문 미국, 영국 등의 나라를 능가하는, 친환경 대중교통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기술의 우수성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더 큰 관심을 갖는 서울 남산 전기버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난 12월 21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이 버스는 배기관이 없습니다. 휘발유나 경유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전기로 움직이는 전기차이기 때문이지요~ 서울시가 대기 질을 개선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현대중공업, 한국화이바와 손 잡고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한 이 친환경 대형 전.. 한 눈에 보는, '페이스북 VS 트위터' 인포그래픽!! 2010년 가장 뜨거웠던 소셜미디어(Social media)계의 양대산맥, 페이스북(facebook)과 트위터(twitter)의 이용 현황을 한 눈에 비교해볼 수 있는 'Digital Surgeons'의 인포그래픽입니다. 총 5억명의 사람들이 이용 중인 페이스북과, 1억 6백만명의 이용자가 있는 트위터~!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페이스북의 유저(User)들이 더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로그인하고,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비율 또한 페이스북 유저들이 조금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트위터의 유저들이 페이스북 유저들보다 브랜드를 팔로잉(following)하는 비율은 적지만, 브랜드를 팔로잉한 사람들이 특정 브랜드를 구입하는 경향..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