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포스터로 사회적 메시지를 전한다! 'Poster for Tomorrow' Poster for Tomorrow는 파리에 기반를 둔 비영리 단체입니다. 이곳에서는 사회적 이슈를 포스터로 다루며 디자인 커뮤니티와 모든 사람들을 내,외부적으로 격려하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들에게 사회적 메시지가 담긴 포스터를 받고 있는데, 지금까지 81개국에서 4,000장 이상의 작품이 모였다고 하네요! 2009년 몇 명의 디자이너들은 여가시간을 활용해 그들에게 잘 보이지 않는 땅 저편에서 고통받고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기위해 작은 실천을 시작했는데, 이내 세계적인 움직임으로 성장하며 지금의 Poster for Tomorrow로 성장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아이와 노인을 넘어 인류의 자유와 가치, 권리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Poster for Tomorro.. 일상의 행동으로 연주하는 Everyday Action 오케스트라 여러분들은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하나씩은 있으신가요? 음악에 취미가 없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악기마다 연주법이 다르니 따로 배우지 않는 한 어떤 악기든 연주하는 건 불가능할 겁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할 'Everyday Action Orchestra' 는 처음 접한다 해도 이미 마스터 했다고 보면 됩니다. 별다른 연주법 없이도 일상 속 행동만으로 악기연주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책장을 넘길 때 카드를 긁을 때 머리카락을 잡아 당길 때 춤을 출 때 스트레칭을 할 때 Everyday Action Orchestra(일상의 행동 오케스트라)는, 이탈리아 밀란의 디자인 대학 NABA에서 열린 5일간의 워크샵에서 진행되었던 프로그램입니다. 각각의 디자이너들은 손을 흔들고, 책을 넘기고, 이를 닦는 등 일상의 행동 속.. 이색적인 캠핑 프로그램 바야흐로 캠핑의 계절이 돌아 왔습니다. 봄바람과 색색의 텐트, 캠프파이어가 우리를 설레게 합니다. 나무 그늘 아래 가족 또는 친구들과 둘러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자연 속에 몸을 맡기면 반복되던 일상으로 지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질 것만 같습니다. 근래에 캠핑 붐이 일기 시작하면서 유명 가수들을 초청하여 광란의 밤을 보내는 캠핑 페스티벌이 늘고 있는데요. 보다 뜻 깊은 휴일을 보내고 싶은 여러분을 위해 시끄러운 음악에 열광하는 것 외에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는 캠핑 프로그램들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립니다. Art Outside 기간: 10월 18일 - 20일 장소: 미국, 텍사스 Art Outside(아트 아웃사이드)는 음악, 미술, 영화 등의 장르를 불문한 광범위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한데 어우러져.. 당신의 상점을 브랜딩 해드립니다! 여러분은 혹시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집근처 세탁소나 슈퍼가 있으신가요?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마을상점의 경우 단지 판매자와 소비자의 관계가 아닌 마을 공동체로서의 관계를 맺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번화가를 중심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프랜차이즈 상점들이 마을에 들어서면서 오랜시간 마을을 지켜온 마을 상점들의 입지가 위태로워졌는데요. 요르단의 비영리 디자인 그룹 Wajha는 이러한 마을상점들을 무료로 브랜딩해 드리고 있습니다. 마을상점들이 Wajha의 도움을 받아 어떠한 모습으로 바뀌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첫번째로 진행된 프로젝트는 요르단의 암만(Amman)에 위치한 재단사 칼리드(Khaled)씨의 작업실입니다. 1957년부터 한 자리를 지켜온 재단사 칼리드씨에게 드디어 자신의 얼굴을 본뜬 브랜드가 생긴.. 디자이너가 만드는 철학사전 필로그래픽(Philographics / philosophy + graphics)은 대담한 색채와 단순한 형태만으로 철학적 패러다임을 표현한 그래픽입니다. 자유 의지, 실존주의, 또는 이상주의를 그래픽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총 95개의 철학이론을 담은 필로그래픽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엽서와 포스터, 이론을 담은 페이퍼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철학이론들을 명료하고 친숙한 기하학적 그래픽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각 이론에 대한 짧은 정의가 덧붙여져 있습니다. 미학 무정부주의 구성주의 절충주의 개인주의 낙천주의 스토아철학 주관주의 카레라스는 어떤 연유로 철학을 선택하게 되었을까요? 첫 시작은 니체였습니다. 15살 때 우연히 접하게된 로부터 였지요. 그때부터 그.. [인포그래픽] 템플스테이하는 방법 템플스테이(Templestay)는 어떻게 하는 건지 궁금하셨죠? 여기 그 방법을 알려주는 인포그래픽이 있습니다. '템플스테이 - 그곳에 가면 당신을 찾을 수 있습니다(Templestay - If you go there you can find yourself)' 오늘은 사월 초파일(음력 4월 8일), 부처님 탄생 기념일인 석가탄신일입니다. 불교의 4대 명절 중 가장 큰 명절로 우리나라에선 오래 전부터 불자건 아니건 모든 이들이 즐겨온 민속명절입니다. 요즘 한창 도로변에 연등들이 걸려있는 모습을 흔치 않게 볼 수 있었죠^^ 그만큼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익숙하게 전승되고 있는 날입니다. 언제부턴가 템플스테이(Templestay)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거예요. 템플스테이는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 즈음해서 ..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엠블럼,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을까요? 얼마 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공식 엠블럼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존의 올림픽 엠블럼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모양으로 선보였는데요, '평창'의 ㅍ과 ㅊ을 형상화하고, 올림픽 오륜기의 색상과 오방색(오행의 각 기운과 직결된 청, 적, 황, 백, 흑의 다섯 가지 기본색)을 활용해서 제작했다고 합니다. 사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엠블럼이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간 올림픽 유치신청을 할 때마다 각각 다른 엠블럼을 만들어서 선보였습니다. 그러다가 올림픽 개최를 5년 앞둔 이 시점에 공식 엠블럼을 발표하게 된 것입니다. 내년에 개최되는 소치 동계올림픽도 개최 5년 전인 2009년에 공식 엠블럼을 발표했습니다. 그럼 이번 공식 엠블럼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는지 알아볼까요? 2012년 6월.. 메마른 땅 아프리카에 사랑을 전하는 "쿠마노코이도" 2013년은 ‘물의 해’입니다. 물 부족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는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아프리카 지방의 물 부족을 지원하고 있는 한 디자이너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준이치(Junichi Nakane)는 친구와 함께 서아프리카의 말리 지방을 여행하던 중 극심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말리의 현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지나친 건축 사업의 폐해로 사람이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이 턱없이 부족한 이곳에서 갈증에 허덕이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에 가슴 아파 합니다. 여행이 끝난 후 준이치는 가난한 아프리카 지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합니다. 일반적인 기부 사업으로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그는 색다른 방법으로 사.. 이전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