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owalk story

(2360)
다 읽은 책을 돌려 읽어요 '책읽는 기린씨' 슬로워크에는 직원들이 만드는 작은 도서관 '슬로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서로 다 읽었거나 시간이 부족해 읽지 못한 책들을 가져와 꽂아두고 자유롭게 빌려가는 공간이죠. 내부에서만 이용하다 보니 이미 여러 직원이 대여했다가 반납한 도서는 더이상 빌려갈 사람이 없어 그대로 방치됩니다. 그래서 좀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한통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슬로워크의 '슬로라이브러리'와 슬로워크 블로그를 통해 소개되었던 'Litterati'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책읽는 기린씨'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고등학생이었습니다. 고맙게도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글을 보내주셨더라고요. 저희도 다 읽은 책을 공유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좋은 프로젝트라고 생각되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참여방법을 한..
챔피언의 주먹으로 문맹과 싸우다, fist font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전 세계 어린이의 수는 약 2억 5천만 명이라고 합니다. 세계 헤비급 복싱 챔피언 블라드미르 클리츠코(Wladimir Kitschko)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복싱으로 이 문제와 싸우는데요. 세상에서 가장 강한 주먹으로 만든 Fist Font를 소개합니다. 우크라이나 출신의 블라드미르 클리츠코는 복싱 4대 기구에서 8년째 챔피언 자리를 지키고 있는 현 최강 헤비급 복서입니다. 블라드미르가 문맹과 싸우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는 이름하여 클리츠코 대 문맹 (Kitschko Vs Illiteracy)입니다. 블라드미르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주먹질로 26자의 영문 폰트를 만듭니다. 그가 폰트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주먹에 페인트를 묻혀 캔버스 패드에 때리며 피스트 폰트(Fist F..
코드로 디자인한다. framer.js 1. 모바일 디자인과 프로토타이핑 모바일 시대가 열리면서 과거와는 달리 미디어 디자인에 있어 “인터랙션”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단순히 예쁜 아이콘과 배경을 벗어나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재밌게 반응해야 하는 디자인이 필요하게 된 것이죠. 앱을 조작하는 손맛(!)을 주기 위해 디자이너들은 터치하면 튕기는 아이콘, 좌우 스와이프에 따라 부드럽게 열리는 메뉴, 화면을 아래로 당기면 새로 고침 되는 페이지 등 다양한 인터랙션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즐겨 쓰는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로는 이런 손맛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인터랙션을 일일이 동영상이나 움직이는 이미지(Animated gif)로 만들어 주기에는 너무 힘이 듭니다. 그래서 등장한 도구들이 소위 프로토타이핑 도구라고 하는 O..
지구온난화, 다시 생각해보기! It's not warming, It's dying ‘지구온난화’라는 단어는 이미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단어죠. 하지만 익숙해질수록 그 문제의 심각성은 점점 인식하기 어려워지기 마련입니다. 이렇게 익숙해진 단어를 바꿔 문제에 대한 인식을 일깨워주는 ‘It’s not warming, it's dying' 캠페인을 소개합니다. 1977년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뉴욕의 대표 아이콘이 된 ‘아이러브뉴욕(I ♡ NY)’ 을 디자인한 그래픽디자이너 밀턴 글레이저(Milton Glaser)가 85세의 나이에 또 하나의 멋진 아이콘을 만들었습니다. 그가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던 이슈인 기후변화에 대한 캠페인인데요, 글레이저는 지구온난화는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왜 사람들은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습니다. 글레이저는 ‘지구온난화’의 단어 변경..
밀양에 살고 싶다 2편 "송전탑" 송전탑 건설로 인한 밀양의 아픔은 경북 청도군 삼평리 송전탑 건설 현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밀양에서의 인권침해가 삼평리에서도 그대로 재현이 되고 있는데요. 밀양에 살고 싶다 2회에서는 송전탑이 어떤 문제와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송전탑 건설은 밀양, 청도지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대규모 원전이 계속 건설되는 한 765kV 송전탑은 제2, 3의 밀양은 생길 것입니다. 다음 회에는 송전탑과 얽혀있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더 많은 분들이 송전탑문제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공유와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밀양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페이스북 페이지 (www.facebook.com/my765kVOUT) ‘좋아요’를 눌러 계속 업데이트 되는 소식으로 관심을 잃지 말아주세요. > 1편 '공권력' ..
당신의 식사를 기부해주세요, Feedie 인스타그램의 유명한 해시태그 중 하나는 바로 '#먹스타그램'입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맛있게 먹은 음식을 사진으로 남기고 공유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찍은 음식 사진으로 기부를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레스토랑의 고객들이 찍은 음식 사진으로 기부하는 착한 앱, Feedie를 소개합니다. Feedie의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일단 Feedie에 등록된 레스토랑에 가서 음식을 주문합니다. 잠시 뒤 음식이 나오면 사진을 찍어 페이스북과 트위터, 구글플러스에 공유하면 끝입니다. 레스토랑에서는 이렇게 공유한 사진 1장당 25센트를 런치박스펀드(The Lunchbox Fund)에 기부합니다. 런치박스펀드는 남아프리카 지역의 마을학교 아이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비영리단체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이들의 65%..
택배포장 이제 재활용한다, 'RePack' 지난해 세계 택배 총량이 90건에 달했다고 하는데요, 비용으로 환산하면 약 4~12조 원이나 된다고 합니다. 다시 쓰이지 못하고 바로 버려지는 포장 박스를 생각한다면 굉장한 낭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 택배포장 시스템을 실시한 회사가 등장했다고 하는데요, 핀란드 산업디자인 그룹, 페루스테(Peruste)의 '리팩(RePack)'입니다. 페루스테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하기 위해 모인 전문가와 산업디자이너로 구성된 그룹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혁신적이며 지속 가능한 아이디어를 바라는 핀란드 회사들 덕에 자연스럽게 리팩을 만들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리팩 이외에도 지속 가능한 고민을 담은 프로젝트들을 꾸준이 진행해왔다고 합니다(보러 가기). 이들은 물류, 청정 기술 및 소비자 ..
불법벌목, 폐휴대폰으로 감시하다 우리나라의 평균 휴대폰 교체주기는 약 1년 6개월이라고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은 출시되기 무섭게 후속모델이 나오기 때문에 더욱 짧을 수밖에 없겠죠.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되는 만큼 버려지는 양도 상당하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버려지는 휴대폰을 정말 '스마트'하게 재활용하는 방법이 있어 소개합니다. 불법벌목을 감시하는 산림 파수꾼으로 변신한 폐휴대폰 스피커입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역의 숲 속에서는 특별한 모양의 스피커를 볼 수 있습니다. 마치 꽃잎같이 생긴 게 폐휴대폰 주변으로 활짝 펼쳐져 있는 모습인데요, 꽃잎같이 생긴 것은 태양전지 패널이며 휴대폰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스피커는 쉽게 찾을 수 있는 데 있기보다는 사람의 키 보다는 높은 곳, 빽빽한 나무들 사이 어딘가에 숨겨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