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nd&Design (906)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속가능생산협회의 지속가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많은 단체와 회사의 로고를 살펴보면 나뭇잎, 녹색, 태양 빛, 지구 등 하나같이 비슷한 모티브 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두 지속가능성 하면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이죠. 하지만 이러한 형태들은 지속가능성에 관련된 보편적인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뿐, 브랜드 아이덴티티 자체의 지속가능성은 보여주지 못합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지속가능한 생명력을 가질 수 없는 걸까요? 이와 같은 물음에 대한 깔끔하고 재미있는 해답이 있어 소개합니다. 스페인의 그래픽 디자인 에이전시인 Dosdesadatres는 ‘더 적은 것으로 더 많이 할 수 있는!’ 이라는 모토를 가지고 지속가능생산협회(IPS)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지속가능성이란 최소의 에너지와 자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노래로 듣는 좋은 디자인의 정의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일까요? 예쁘고 귀여운 것, 심플하고 세련된 것, 화려하고 칼라풀한 것 등 디자인이 표현되는 방법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오늘은 영감을 주는 다양한 분양의 이야기를 나누는 크리에이티브모닝스(Creative Mornings)의 강연 중, 좋은 디자인은 무엇일까를 생각해보게 하는 짧은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강연의 주인공은 산업, 제품 디자인을 포함,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이야기하는 core77의 담당자이자 School of Visual Arts의 제품 디자인 석사과정 최고 책임자이기도 한 앨런 초치노프(Allan Chochinov)입니다. 그는 디자인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하나의 노래로 흥미롭게 표현했습니다. Henry와 Elisa라는 두 남녀의 대화를 담은 'There is a hole.. 노숙자를 위한 슈트, Sheltersuit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강타한 폭설과 한파로 저체온증과 동상을 호소하는 노숙인들의 모습과 사망소식이 곳곳에서 들려왔는데요, 갈 곳 없는 노숙인들은 몸도, 마음도 어느 때보다 더 추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네덜란드의 Sheltersuit 재단에서 조금이나마 따뜻한 소식이 있어 소개 합니다. Sheltersuit는 바디 슈트로 변환할 수 있는 침낭 겸 재킷입니다. 극단적인 날씨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외부에서 잠을 잘 때도 따뜻하게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퍼로 상하의가 탈부착되어 활동할 때는 재킷만 입을 수 있고, 잘 때에는 상하의를 부착해 침낭처럼 사용하는 것이죠. 바스(Bas)는 친구의 아버지가 저체온증으로 거리에서 목숨을 잃은 계기로 추위에서 노숙인을 보호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기로 결심했습.. 조금 삐뚤어져도 괜찮아 : 매력적인 인쇄 방식들 아래의 사진들 중 어떤 것이 제대로 잘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마도 맨 오른쪽 사진이겠죠. 흔히 인쇄물을 접할 때 위의 왼쪽 사진처럼 핀이 어긋나거나 가운데의 사진처럼 망점이 보이는 경우는 잘못 인쇄된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또 인쇄 기술의 발달로 위의 문제들은 거의 발생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독특한 인쇄 방식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완벽한 인쇄물보다는 조금 삐뚤어지고 선명하지 않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인 인쇄 방식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리소그라프 리소그라프라는 이름은 일본의 리소과학공업주식회사에서 개발한 실크스크린 방식의 디지털 공판인쇄기의 이름인데요. 미세한 구멍으로 잉크를 통과시켜 종이에 이미지가 인쇄되는 방식으로 스텐실 원리를 디지털로 변환한 기술이라고 합니다. 리소그라.. A Logo Is Not a Brand : 로고 없는 브랜딩 Labels are for cans not people 위로부터 버버리, 맥도날드, Ikea 오늘 포스팅에서는 브랜드와 로고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위의 이미지들을 보고 어떤 브랜드인지 모두 맞추었다면 이미 어느 정도 이해를 하셨으리라 보는데요, 사실 위 이미지의 어느 곳에도 브랜드의 로고나 이름이 노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버버리의 체크무늬와 맥도날드의 붉은 배경의 햄버거 사진, Ikea의 깔끔한 Verdana 서체와 스칸디나비아의 가구 디자인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2015년 여름, 코카콜라는 중동에서 판매되는 콜라 캔에서 로고를 지웁니다. “로고는 캔을 위한 것이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는 문장과 함께, 대신 사람의 이름이나 문구로 대체하는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최근의 맥.. 사진, 디자이너처럼 배치하기 '한 장의 사진이 백 마디 말보다 낫다'란 말이 있죠. 사진은 텍스트보다 읽는 부담감을 줄여 사용자의 눈길을 끌기에 좋은 수단입니다. 그래서 광고 등 사람의 관심을 끌어야 하는 곳에 사진이 많이 사용되죠. 같은 사진이라도 지면에 어떻게 놓이는지에 따라 전달력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잰 화이트의 '편집디자인'에서 사진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사용된 사진은 재편집하여 구성하였습니다.) 1. 사진의 각도를 살펴보세요. 항공사진은 일반적으로 지면의 아래에 놓일 때 가장 자연스럽고 안정되어 보이며 내려다보는 느낌을 강조한다. 하늘에서 머리 위로 날고 있는 갈매기 사진은 그것이 지면의 위쪽에 놓여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놓인 위치는 공간의 느낌을 잡지의 축소화된 세계로 옮겨.. 위트의 대가, 그래픽 디자이너 밥 길 그래픽디자인 에이전시 펜타그램(Pentagram)은 ‘그래픽디자인의 역사의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폴라셰어, 마이클 베이루트 등 걸출한 디자이너들이 지금도 그 역사를 쓰고 있는데요. 이 펜타그램의 전신에는 플레처/포브스/길(Fletcher/Forbes/Gill)의 밥 길(Bob Gill)이라는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밥 길'을 검색하면 ‘길고양이 밥 주기’만 많이 나오는 것을 보아 한국에서 인지도는 처참합니다. 그의 이름은 몰라도 작품들은 이미 ‘스마일인더마인드'와 같은 유명 디자인 저서에서 봤을지도 모릅니다. 그는 세계적인 그래픽디자인의 거장이지만, 무서운 교수님으로도 유명한데요. 하지만 그런 소문과 달리 그의 작품에서는 위트가 넘칩니다. 오늘은 그의 위트 넘치는 주요 작품 중심으로.. 황금비율을 이용해 디자인하기 황금비율은 자연이 우리에게 선사해 준 가장 아름다운 비율입니다. 조개의 껍질, 꽃잎 등 자연에서 뿐만아니라 모나리자, 피라미드 등 역사적인 건축물이나 예술작품에서도 황금비율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황금비율을 우리가 하는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디자인에서 황금비율을 이용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합니다. 두 변의 길이가 황금 비율인 1:1.61을 사각형에 적용한 것이 아래의 황금사각형입니다. A4용지, 신용카드나 신분증(8.5cm, 세로 5.4cm, = 1.574) 등 주위에서 흔히 이 황금사각형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우리의 눈엔 단순히 직사각형으로 인식되었던 이러한 것들이 인간이 보기에 가장 편안하고 안정적인 형태입니다. (2016.01.14 수정) 황금비율을 가장 간단하게 적용하는 방..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