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and&Design

(906)
자전거 타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감사편지! 세상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인 자전거!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오직 타는 사람의 운동에너지로 움직이는 최고의 교통수단인 자전거는 건강함을 원하는 사람에게도, 지구에게도 참 고맙고 이로운 존재입니다. 우리가 매일매일 자전거의 고마움을 생각하며 사는 것은 쉽지 않지만 지구에 살고있는 우리 모두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자가용보다는 자전거를 이용하시는 분들 한분한분에게 많이 고마워해야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한사람의 지구인(!)으로서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환경에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고마움을 직접 표현한 흥미로운 작업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아티스트인 이 홍(Hong Yi)씨는 말레이시아 출신으로 중국 상하이과 호주 멜버른을 오..
두 발로 그린 그림 보셨나요? 오늘 소개하는 거대한 그림은 독일 출신이며 현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아티스트 Sonja Hinrichsen의 작품입니다. 눈 덮인 미국 콜로라도 Rabbit Ears 산 위에서 Sonja의 Snow Drawing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자원봉사자 5명과 함께 눈 위를 걸어 Snow drawing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Sonja는 빠르게 변해가는 도시/공업/자연환경과 이에 얽힌 사람들의 시각과 사용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작업을 한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Snow drawing과 같이 자연 속에서 하나의 의식처럼 행해지는 작업과정을 기록한 작업물을 통해 반영구적인 것과 영구적인 형태를 동시에 담는 작품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는 작품을 만드는 데에는 또 다..
아카데미 시상식, 에코패션을 입고 그린카펫 위를 걷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2월 27일 오전 10시부터 2012년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올해에는 , , , , , 등이, 연기상 부분에는 메릴 스트립, 글렌 클로즈, 브래드 피트, 조지 클루니, 게리 올드만 등이 워낙 쟁쟁한 작품들이 각축전을 벌인 덕분에 영화 팬들로서는 어느 때보다 흥미로운 시상식이었을듯 합니다. 영화 팬인 저도 일하는 중에 짬짬이 수상 결과를 확인하기도 했답니다 ^^ 여러분들은 영화제 시상식, 하면 가장 먼저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저는 영화제의 주인공들이 등장하는 레드 카펫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대중적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아카데미 시상식날은, 여배우들에게는 당연히 고가의 디자이너 드레스와 보석으로 1년 중 가장 화려하게 치장하는 날일 것입니다. 이는 물론 남자배우들..
좁은 집안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방법! 자전거 한대쯤 가지고 계신 분들, 많이 계시죠? 슬로워크의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전거를 많이들 이용하실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고 저는 가족들 모두 각자 한대씩의 자전거를 가지고 있는데요, 집 밖에는 마땅히 자전거를 둘 곳이 없기도 하고, 혹시 망가지거나 없어질까봐 아파트 현관에 자전거 세대를 모두 세워놓고 살다보니 현관이 비좁게 느껴지곤 합니다. 게다가 1인 가구가 많아진 요즘에는 혼자 사는 공간에 자전거까지 보관하다보니 집안에 발 디딜 틈 없어진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작은 원룸에서 혼자 자취하고 있는 제 친구도 자전거를 잘 타지 않는 겨울 동안 좁은 집 안에 자전거를 들여놓고 사느라 이만저만 불편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제 친구처럼 자전거를 보관할 장소가 고민인 ..
Shopping Responsibly: Consumers, Brands, and Beyond - Thought for the day: Who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roducts we consume? Brands, factories, agents, consumers, everyone? In Europe, an interesting trend is emerging in the fashion industry, where responsibility starts with the brand. http://www.fairwear.org/ By joining the Fair Wear Foundation (FWF), an international verification initiative, brands are required to work towards continuo..
길거리에 하트무늬를 남기는 남자?!?! 나무에서 떨어진 연둣빛 잎사귀들을 누군가가 한 데 모아 하트 모양을 만들었네요. 아스팔트 도로 옆에도, 도로보수현장에도, 빨랫줄에도, 이 사진들은 캐나다의 Street Artist Roadsworth 의 사진들입니다. 일상에서 흔히 만나는 삭막한 도시풍경에서 만난 하트. 아무리 화가 나는 일이 있었더라도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하트 하나에 모는 마음이 눈녹듯사라질 것 같습니다. Roadsworth, 그는 10년 전, 자동차 문화를 반대하고 자전거 문화를 널리 확산시키기 위해 길거리 예술을 시작했었습니다. 같은 맥락으로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가 'DEAD HEARTS', 도심 거리에 하트무늬를 남기는 작업이지요. 그의 다양한 하트무늬들도 만나볼까요? 영상으로도 만나보세요~^^ by 토끼발자국 공감하시면 아래..
도시의 새들에게도 편히 쉴 공간을 달라!?!? 우리 나라의 새는 지금까지 약 396종이 살고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의 새 종류와 개체수가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는군요. 새가 주로 서식하는 산에도 음식점, 산림 박물관 등의 건립으로 인해, 번식에 필수적인 참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 없어짐에 따라 새가 살아가는 서식환경이 박탈당했고 소음, 공해, 개울물의 오염 등으로 치명적인 위협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군요. 이런 상황은 도시에서 더욱 심각하고요. 살 곳을 잃어 사라지는 새들. 왜 사라져가는지 이유를 알았다면 해결책을 제시해 주어야 하겠죠? 최근 독일의 한 디자인 회사는 "Vogelstad라는 신개념 새집을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크기의 새집들이 연결된 모양이 마치 어릴적 가지고 놀던 조립 로보트의 부품처럼 생겼습니다. 이렇..
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 표시 지도 최근들어 자주 들리는 기사거리들이 도시계획 디자인, 얼바니즘에 관한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도시 디자인은 지속 가능 경영, 지속가능성 등의 개념과 함께 진행되어 장기적으로 기획되어 실행이 되는데요, 요즘 국외에서 실질적 움직임들도 하나 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 중 한 움직임으로, 뉴욕시 연간 빌딩 에너지 소모량 정보(2009년도 자료) 지도 리서치 연구 팀의 인터렉티브 뉴욕시 맵을 소개합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형태로 연간 에너지 소모량을 색으로 구별하여 지도에 표시하고 건물 위로 마우스를 갖다 대면 그 빌딩의 연간 에너지 소모량 분석이 나옵니다. 분석내용은 공간 온열과 냉방, 온수, 기본적인 전기사용 부분, 총 4부문입니다. (인터렉티브 지도 링크 :: http://modi.mech.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