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414) 썸네일형 리스트형 에펠탑의 불빛을 꺼주세요. 어스아워(Earth Hour) D-11, 3월 28일은 전 세계의 불빛이 사라지는 날입니다. 8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지구를 위해 전등을 끄는데요. 2007년 시드니에서 시작된 전등 끄기 캠페인, 어스아워는 현재 162개국에서 참여하는 지구를 위한 날입니다. (어스아워(Earth Hour) 소개글 보러 가기) 나라마다 참여하는 방법이 다를 텐데요. 프랑스 파리에서는 에펠탑의 불빛을 끕니다. 왠지 가장 파리다운 방법으로 지구를 위해 동참하고 있는 듯하네요. 지금은 이 행사가 많이 알려지도록 earthhour.paris 라는 웹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불이 켜진 에펠탑이 보입니다.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월 28일 어스아워까지 남은 날이 표시되며, 아래 참여하기를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에펠탑 전등의 남은 개수.. 세월호의 기억을 펼치는 사람들 안녕하세요! 3월 ~ 5월 인턴 일을 하게 된 제천간디학교 학생 얼룩말 발자국 입니다. (제천간디학교 소개글 보기) 세월호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지난 4월 16일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 볼 수 밖에 없는 사건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많은 관심과 위로가 있었지만 사람들은 바쁜 일상에 세월호 사건을 잊어가고 있습니다. 아직 해결되지 못한 이 사건을 바쁜 일상에 잊어가는 분들과 돕고 싶지만 도와줄 방법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제천간디학교 학생들과 선생님 그리고 얼룩말 발자국이 함께 고민해 만들었습니다. 세월호를 잊지 말자는 의미가 담긴 활용도 높은 '우산 만들기 프로젝트' 를 소개합니다. '공간 민들레' 에서 첫 만남을 가졌습니다. 의욕이 앞서 일을 빠르게 진행시키고 싶었지만 논의할 내용이 많았습니.. 태양광 에너지 비행기 '솔라 임펄스(Solar Impulse)' 세계 최초, 연료는 한 방울도 필요 없다! 오로지 태양광 에너지로만 나는 비행기 '솔라 임펄스 2(Solar Impulse 2)'를 소개합니다. 솔라 임펄스 2는 스위스에서 개발된 태양광 에너지 비행기입니다. 이 비행기 프로젝트의 기획자 '베르트랑 피카르(Bertrand Piccard)'는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1990년대 초반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성공한 인물입니다. 이 사실만으로도 놀라우나, 그는 열기구 일주에 화석연료가 어마어마하게 쓰였다는 사실을 깨닫고 친환경 비행을 위한 거대한 연구를 하기 시작했다고 해요. 그렇게 시작된 프로젝트가 솔라 임펄스입니다. ▲ 연도별 태양광 에너지 비행기 사례 사실 태양광 에너지 비행기는 솔라 임펄스가 최초는 아닙니다. 1980년대 초부터 여러 곳에서 지속적으로 .. 인간이 썩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면? 길었던 설 연휴가 지났습니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에는 풍족한 음식만큼 음식물 쓰레기 또한 급증한다고 하는데요. 환경적인 문제와 더불어 엄청난 비용을 소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한 수준입니다. 전국적으로 연간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4백만 톤에 달하며, 처리비용은 자그마치 20조원으로, 2013년에 책정된 서울시 예산(20조 6천2백87억원)과 맞먹는 수치라고 하네요. (출처:네이버캐스트)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종량제 봉투 사용, 식문화 개선,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등 다양한 해결 방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진 프로젝트가 있어 소개합니다. 영국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의 폴 공(Paul Gong)이 .. 식물세밀화는 말합니다, 자연을 돌아보라고. 식물세밀화를 아시나요? 식물세밀화는 식물을 식별하기 위해 형태를 그린 그림입니다. 작업의 목적은 '기록'에 있고, 식물의 분류를 위해 정확히 그립니다. 오늘은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작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 곁의 자연을 찬찬히 돌아보게 하는 세밀화와 그 제작과정을 공유합니다. 작가님에 대한 자세한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식물세밀화를 그리고 있어요. 일종의 과학 일러스트인데, 식물을 식별하기 위해 형태를 그림으로 기록하는 일이에요. 또 식물세밀화를 그리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식물을 이용해 표본과 사진 작업도 하고 있어요. 식물세밀화를 하시기 전에는 무슨 전공이셨는지 궁금해요. 전 원예학을 공부했어요. 식물학 안에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다른 전공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과학 일러스트 중 가장 많이 발.. 매일매일 다르게 보는 지구. Daily Overview 여러분은 지금 어디에 살고 계신가요? 서울, 대구, 대전, 부산. 혹은 뉴욕, 런던, 파리 등의 다른 나라에서 살고 있겠죠. 이렇게 다른 곳에 사는 우리를 하나로 묶어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하나의 ‘지구’에서 산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같이 사는 장소, ‘지구’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프로젝트 데일리오버뷰(Daily Overview)를 소개합니다. 오버뷰효과(Overview Effect)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직역하자면 ‘위에서 본’이라는 뜻의 이 효과는 우주 비행사가 우주에서 작아진 지구를 직접 바라보며 경험하는 느낌을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사는 터전으로서의 지구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 그리고 인간의 나약함을 느낀다고 합니다. 벤자민 그랜트(Benjamin Grant) 씨.. 프라이탁이 찾은 지속가능한 원단 방수포를 재활용해 가방을 만드는 스위스 브랜드 프라이탁(Freitag)을 아시나요? 버려진 물건을 재사용하는 개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물건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upcycling) 브랜드입니다. 그런 프라이탁이 가방을 넘어, 새로운 개념의 원단을 찾아 옷을 만듭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소개하겠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직원들에게 적합한 작업복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유럽에서 생산되는 린넨, 대마 섬유, 모달과 같은 천연 소재 섬유를 만나게 됩니다. 그들은 그 지속가능성에 주목했고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원단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천연소재인 것은 물론이고 지속적으로 생산 가능하며 훗날 퇴비화될 수 있는 생분해성 원단이라고 합니다. 프라이탁은 'F-ABRIC'이라는 이름의 이 원단의.. 사람 배설물이 버스 연료가 되다? 사람의 배설물 및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바이오가스(biogas)가 영국에서 버스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소개합니다, 세계 최초 바이오가스가 연료인 '바이오버스(biobus)'입니다.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는 매년 1억 8,000만 톤이라고 합니다. 이를 가스로 변환시키면 석유만큼 활용 가능한 대체에너지가 되는데요, 이게 바로 바이오가스입니다. 우리나라도 얼마전 전북 김제에 바이오가스 발전소 착공이 국내 최초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그만큼 앞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대체에너지라는 뜻이겠죠? 벌써 바이오가스를 실생활에 적용한 사례가 등장했습니다. 당연히 우리나라는 아니고요, 영국인데요. 공항과 도심 간을 운영하는 40인승의 시내버스입니다. 바이오버스의 엔진은 일반 디젤 버스와 비슷하고, .. 이전 1 ··· 3 4 5 6 7 8 9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