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Slowalk (2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이의 이면을 생각하다, 이분의 이 캠페인 매일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복사지는 40만 톤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 양은 30년생 나무 800만 그루에 해당합니다. 또 평균적으로 사무실 종이의 45%는 인쇄된 그 날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고 해요. 종이를 아끼려면 소비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일하다 보면 하루 안 쓰는 것도 쉽지 않죠. 양면 인쇄 설정은 헷갈리기도 하고, 실제 원고를 보기에도 단면 인쇄가 편한 만큼 대부분 단면 인쇄를 많이 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단면 인쇄를 하고 제 일을 다 마친 종이,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슬로워크의 경우 이면지들을 모아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디학교를 다니며 생활 규칙을 통해 자원을 아끼는 게 습관으로 배어있던 저에게, 인턴으로 학교 밖에 나와 보이는 모습들은 학교와는 무척 달랐습니다. 특히 슬로워크 복.. 기분이 안내하는 작은 집으로, YWP:잎 슬로워크가 있는 서촌에는 오묘한 분위기의 장소들이 골목마다 여기저기 숨겨져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통의동집입니다. 블로그에는 인턴 알파카 발자국의 인터뷰를 통해서 소개되기도 했었죠. 통의동집은 서울소셜스탠다드와 정림건축문화재단이 함께 만든 셰어하우스인데요, 서울소셜스탠다드는(Seoul Social Standard)는 서울(Seoul)을 배경으로 사람과 시간, 공간이 만드는 다양한 관계(Social) 속에서 우리가 지지해야 할 표준(Standard)은 무엇인지 발굴하고 만들어가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곳입니다. 서울소셜스탠다드가 셰어하우스 통의동집에 이어 서울 곳곳의 작은 집들을 안내하는 [YWP:잎] 서비스를 기획하였는데요, 슬로워크에서는 홈페이지 작업을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YWP:잎.. 하루 동안 인포그래픽 만들기, 슬로워크 2014 버닝데이 지난 금요일, 슬로워크에서는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특별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하루 동안 각 팀의 아이디어를 구현해내는 '버닝데이(Burning Day)'가 지난해 11월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었습니다. > 2013 버닝데이 이야기 보러가기 디자인회사의 특성 상 슬로워커들이 하는 대부분의 작업이 클라이언트 잡(client job)입니다. 반복되는 작업에 자칫 지치기 쉬운데요, 스스로 기획부터 제작까지 맡아봄으로써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고, 그간 공동 작업을 해보지 않은 다른 슬로워커와 협업해 보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버닝데이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해 버닝데이에서는 달력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인포그래픽 만들기를 목표로 세웠습니다. 한 팀에 2~3명 씩 모두 9팀을 구성했습니다. 주제 선정은 이런 가.. 기술에 대한 성찰,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바보같은 말이지만, 스마트폰은 정말 스마트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어느 누구와의 소통도 가능하게 해줍니다. 또 요즘은 카페나 식당에서 어린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쥐어주는 부모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자녀가 말썽을 부리지 않고 가만히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데는 이만한 보육도구가 없죠.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스마트함에도 불구하고 세대간의 단절, 소외된 인간관계, 스마트폰 중독 등의 말들은 점점 더 떠오르는 화두입니다. 스마트폰 보급률 1위인 대한민국, 과연 우리는 스마트폰에 대해 얼마나 알고 사용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한국 사회에서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후 나타나는 이러한 역설적 상황을 배경으로 최근 설립된 한겨레신문사 부설 사람과디지털연구소에 대해 소개합니다. 새로운 기술의 성.. 슬로워크의 2013년을 한 눈에 확인하자! Slowalk Annual Report 2013 슬로워크는 1년 간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는 애뉴얼리포트를 2012년에 발행한 적이 있습니다. 기존의 애뉴얼리포트와는 다른 혁신적인 구성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Slowalk Annual Report 2011 보기) 그래서 올해에도 누구나 알기 쉽게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한 애뉴얼리포트를 제작했습니다. 슬로워크의 2013년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애뉴얼리포트를 소개합니다. 먼저 'Transition(변화)' 부분입니다. 2013년에 일어났던 가장 큰 변화를 모아놓았습니다. 삼청동의 한옥에서 통의동의 빌딩으로 사무실을 이전한 것이 가장 큰 사건이었습니다. 이전과 함께 웹개발실이 합류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전문회사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이 과.. 공익활동이 쉬워진다, 서울시npo지원센터 서울 시민의 공익활동을 돕는 서울시npo지원센터를 아시나요? 'NPO'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느껴지실 텐데요. 우리는 흔히 쓰는 NGO(non-government organization; 비정부조직)와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되며, NPO는 non-profit organization으로 '비영리조직'을 뜻합니다. npo지원센터는 서울시에서 비영리 공익활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모임·단체를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시민에게 공익활동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알리고, 누구나 쉽게 공익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울시 민간위탁기관이죠. (npo지원센터 바로가기) npo지원센터가 탄생함과 함께 슬로워크가 브랜드 개발을 맡았습니다. 오늘은 그 작업과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 친환경 사회적기업의 개척자들 함께 고민하고 도와주며 가난이라는 큰 벽을 조금씩 허물기 위해 노력하는 사회연대은행. 지난 2013년 성장지원사업의 결과보고서인 '친환경 사회적 기업, GREEN FRONTIER'의 디자인을 슬로워크에서 진행하였는데요, 그 결과물을 통해 친환경 예비사회적기업들의 성과사례를 소개합니다. 사회연대은행은 창업을 통해 저소득 빈곤층의 실질적인 경제적·심리적 자립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입니다. 가난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책임으로 보고 여러가지 지원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사회연대은행에서 진행해 온 'LG전자. LG화학 친환경 예비사회적기업 성장지원사업'은 성장가능성이 크고 지역사회 기여도가 높은 친환경 예비사회적기업을 육성하는 사업으로서 2011년부.. 새롭게 바뀐 슬로워크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슬로워크의 다양한 프로젝트와 디자인 작업물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 슬로워크 홈페이지(slowalk.co.kr)에 방문해보신 적이 있나요? 초창기 3명의 직원으로 시작해 이제는 25명의 구성원이 일하는 회사로 성장한 슬로워크. 양적인 크기뿐 아니라 더 깊이 있게 다양한 영역을 확장해가는 슬로워크에게 홈페이지 리뉴얼은 꼭 필요한 과정이었습니다. 기존의 슬로워크 홈페이지 슬로워크만의 스타일과 기존 홈페이지의 쉽고 간편한 방향성은 유지하되 확장된 크기와 사업 영역에 맞춰 전문성을 더하고, 많은 분들께 조금 더 친절하고 가깝게 다가가는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고군분투! 실력과 열정을 겸비한 슬로워크 웹 개발실에서 개발, 디자인하고 슬로워크의 각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함께 참여해 만들어가는 slowalk.co.k..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