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alk story (2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기에게 온기를, 엄마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담요?! 개발 도상국에서 가장 가슴 아픈 문제 중 하나인 영아 사망률. 그 중에서도 우간다는 1세 이전 영아의 사망률이 1000명 당 77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영아 사망 비율을 가진 국가라고 합니다. 미국 6.3명, 영국 4.8명에 비교해보면 그 심각성을 더욱 느낄 수 있습니다. 우간다의 영아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있다고 하는데요, 체온을 조절하여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담요가 그것이지요. 아기들에게 온기 못지 않게 중요한것은 부모들의 관심과 보살핌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의료 혜택이 적절히 지원되기 힘든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건강에 관련된 정보교육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합니다. 아기에게는 온기가 필요하고, 부모님들에게는 신생아 건강에 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가전제품들이 전기가 아닌 연료로 움직인다면? 헤어드라이어, 컴퓨터, 커피메이커 등 생활 가전제품들이 전기가 아닌 연료로 움직인다면? 자동차 회사 닛산 Nissan에서 2012년 출시를 앞두고 있는 전기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리프 LEAF의 광고입니다. 전기 에너지로 작동되는 기기들이 연료로 움직이는 세상을 보여줌으로써, 생활에 필요한 거의 대부분의 기기들이 전기로 작동하는데 반해 왜 자동차만은 아직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너무나도 당연한 의문인데도 미처 생각해보지 않은 사실을 역으로 지적하고 있네요. 화석연료를 태우는 대신 전기 충전 방식을 차용해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전기자동차는 1800년대 후반, 오히려 가솔린 자동차 보다 먼저 개발되었지만, 배터리의 무게와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상용화되지.. NEW CITY를 위한 50개의 아이디어들 5월 초에 뉴욕에서 열렸던 Festival of ideas for the New City에 참여하는 Urban Omnibus에서 작업한 포스터입니다. Urban Omnibus는 보다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5사람들에게 '더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50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들 중 몇 가지를 포스터 시리즈로 만들어 뉴욕 곳곳에 설치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웹사이트에 리스팅 된 50개의 아이디어를 읽고 각각의 아이디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의견도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 또한 마련해 놓았고요. 이들이 제안하는 50가지의 아이디어들 중 몇 가지만 살펴볼까요? #4. 자신이 알고 있는 지역공동체에서부터 작은 변화를 만들어보기 #7. .. 가구로 변신한 도로 표지판!!!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저마다 노랑, 빨강, 파랑색으로 칠해져 무언가를 상징하는 기호들과 함께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언어로 정보를 전달하지요. 철판으로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구요. 오늘 소개해드릴 작품은 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이긴 한데, 그 쓰임이 완전히 다른 도로표지판들을 소개해 드립니다!!! 때론 멋진 의자로, 개성만점 식탁과 장식품으로 변신하였네요~^^ 이 작품들은 Boris Bally라는 분의 작품으로 버려진 표지판들을 모아 손수 작업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Boris Bally의 작품 더 보기>>> 이렇게 쉽게 분해가되면 운반도 편리하니 일석이조겠죠? by 토끼발자국 숲이나 공원에 버려도 죄책감들지않는 일회용 그릇들! 야외에서 밥을 먹을 때나 설거지하기 어려운 상황일 때 편리함을 위해 때로는 어쩔 수 없이 일회용 접시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겨우 한 번 사용된 뒤에 쓰레기가 되어버린 접시들을 치울 때면 마음 한구석이 찝찝할 수 밖에 없죠.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이지만 대부분 이 사실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일반쓰레기통에 버려지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렇다고 필리핀 사람들처럼 바나나 잎을 접시 삼아 먹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하지만 신이치로 오사와라는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이 그릇들은 버릴 때 죄책감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종이로 만들어진 이 그릇들은 100% 생분해성 소재이기 때문인데요, 게다가 디자인 또한 아름답네요. 실제로 시판되고 있지만 소형 접시 하나가 9,000원 가량이기 때문에 가격이 매.. 좋은 디자인의 필수조건, 좋은 클라이언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갈 수록 디자인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되는데요. 오늘은 디자인에서 중요한, 좋은 디자인을 열매맺는,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의 '관계'에 대해 나누고 싶습니다. 흔히 디자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죠. 클라이언트(갑)이 자신들이 필요한 디자인을 디자이너(을)에게 요구합니다. 이때부터 갑/을 이라는 오묘한 관계가 형성되는데요. 갑이 을에게 일(도움)을 의뢰했지만, 심한 경우 이 갑/을의 관계는 주인/노예의 관계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디자이너가 클라이언트의 종이 되는것보다 큰 문제점은, 디자이너의 역량이 반영되지 않은 디자인은 자칫 효과적이다 못해 '괴물'로 변해버릴 수 있다는거죠. 이런 문제점에 대한 고민은 갑을관계의 개념이 강한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만.. 나무는 꼭 땅에 심어야 하나요? 도시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도 대부분 녹지 공간의 필요성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땅값 비싼 도심 한복판에 나무를 심고 수풀을 가꾸는 것 보다는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건물을 짓고 차도를 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기 쉽죠. 하지만 마드리드에 있는 이 정원을 보고나면, '남는 땅이 없어서 녹지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는 핑계는 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거대한 나무처럼 보이는 이 거대한 식물 더어리(?)는 이른바 '수직 정원' 이라 불리는 정원인데요, 비록 수풀 사이를 걸어다닐 수는 없지만, 그 존재만으로도 쾌적한 녹지공간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 자리잡은 이 '수직 정원'은 지어진지 100년도 훨씬 넘은 어느 낡은 발전소 건물의 외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18.. 울타리에 걸린 172마리의 고래들 슬로워크에서도 고래보호와 포경 반대를 위한 포스터를 작업한 적이 있는데요, 국제적인 해양환경단체인 Sea Shepherd에서도 최근 포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인상적인 작업을 했습니다. 올해 172마리의 고래가 포경으로 희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172개의 포스터를 줄지어 설치한 작업인데요, 날카로운 울타리에 포스터가 찢어지도록 설치해서 고래 포경의 잔인함을 사람들이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도록,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포경활동은 고래들의 개체수 급감을 불러왔습니다. 여기에 지구 온난화 현상과 어류 남획으로 인해 먹잇감까지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요.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그리고 존재했던 모든 생명체 중에서 가장 거대한 존재인 대왕고래(=흰수염고래)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이전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