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owalk story

(2360)
Can we fit in? Yes WE CAN! 해외에서 슬로워크의 블로그를 꾸준히 방문해주시는 분들을 위해 한달에 한 번,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에 영문 포스팅을 발행합니다. 앞으로 슬로워크 블로그의 컨텐츠가 더욱 멀리멀리 퍼져나가기를 바라면서! 우리말 포스팅보기 >>클릭! From today, we will post in English once a month, on every last wednesday. Hope that more and more people can share our messages! _ For today's post, we introduce a practice which motivates disabled people to adjust to our society by making ‘Cookies’. A social enterprise..
지혜를 나누는 나비효과 사이트 아주 흥미로운 홈페이지가 문을 열었습니다. 사이트 이름은 버터 플라이가 아니라 베터플라이(Betterfly). 1995년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진화를 거듭해 소통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웹2.0’ 시대가 활짝 열었지요. ‘웹1.0’이 인터넷 전문가 그룹의 폐쇄적 구조였다면 웹2.0은 열린 공간입니다. 빌 게이츠의 표현대로 ‘창조적 보통사람들(creative commons)'이 인터넷 공간에서 지식과 지혜를 나누고 있지요. 베터플라이는 자신이 가진 재능과 실력을 서로 나누고 배울 수 있게 하는 ‘교육나눔복덕방’입니다. 존 반 다이크는 ‘가르침은 예술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모두가 평생 학생이자 스승인 셈이지요. 그만큼 배우고 가르친다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불후의 역장 ‘에밀’을 쓴 장 자크 루소는 식물은..
가을여행, 떠나기좋은 아름다운 숲 10선 "지구의 환경변화를 몸으로 실감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답답하고 삭막한 이 가을 도시속에서의 삶에 지쳐 산소가득한 숲으로의 여행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제 12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를 통해 선정된 자연의 숲 10곳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강원도 평창 오대산국립공원 전나무 숲 우리나라 최대 전나무 숲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이 숲은 연간 백만명 이상의 탐방객이 방문하고 있다고 합니다. 흉고 직경 평균 40~60cm의 전나무 1,700여 그루가 늘어서 있는데 평균 83년, 최고 300년의 수령을 자랑합니다. 위치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번지 면적 총 길이 약 1km, 폭 5~8m 2. 경북 포항 여인의 숲 국도변에 자리한 이 울창한 상수리 숲은 과거 대홍수때 마을을 제해로 부터 구해준 것은..
탈북청소년들이 내일을 위한 꿈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Q: 인생의 가장 기뻤던 때는? A: 한국행 비행기 탔을 때. 한국에 오기위해 죽을 고비를 몇번이나 할 정도로 그토록 갈망하던 한국이었으니까! 탈북청소년을 위한 학교, 여명학교 어느 학생의 설문조사 답변입니다. 2010년 작년 한해 탈북청소년의 누적인원이 2,520명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살고 있고, 이제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청소년이라고 합니다. 탈북자 누적인원이 1만명에 이르기까지는 1950년부터 56년이 걸렸지만 1만명이 더 늘어 누적인원 2만명이 되기까지는 겨우 3년(2007~2010)이 걸렸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목숨을 걸고 탈북의 발걸음을 내딛는 이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
행복의 나라 부탄, BALLONS OF BHUTAN 프로젝트!!! 부탄이라는 나라를 알고 계신가요? 부탄은 인도와 티베트 사이에 있는 작은 나라입니다. 약 47,000㎢의 크기로 우리나라의 1/5정도이고, 해발 2000m 이상의 고도에 위치해 있어 국토 대부분이 산악지대이며 국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일인당 GDP 1800달러인 부탄은 세계에서 가난한 나라중의 하나이지요. 하지만 한가지 아이러니한 사실은 세계에서 8번째로 행복한 나라라는 것!!! 믿겨지시나요? 가장 가난한 나라가 전 세계에서 손에 꼽히는 행복한 나라가 될 수 있다니 말이죠. 아마 아래의 영상을 보신다면 이해가 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17살에 즉위한 부탄의 국왕이 어떻게 국민의 행복을 증진했는지가 짧은 영상 속에 간명하게 담겨 있습니다. 많은 부를 위해 치열한 경쟁과 무조건적인..
쓰레기 더미에서 찾은 희망, 브라질에서 꽃피우다 브라질 출신 아티스트 빅 뮤니츠(Vik Muniz)의 이 쓰레기를 이용한 작업은 다큐멘터리 영화 웨이스트 랜드(waste land)를 통해 전 작업과정을 보여주고있습니다. 브라질 리우데 자네이루의 외곽에 위치한 브라질 최대 쓰레기 매립지 'Jarding Gracho' 에는 이곳에서 쓰레기 자원을 채취하며 생활하는 '카타도르(Picker)'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존감이 높았고 이곳에서 태어난 대부분의 사람들이 카타도르의 삶을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매일 매립되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로 인해 이곳에서의 삶은 너무나 위태로워 보입니다. 현재 브라질의 쓰래기 매립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몸으로 체감하고 있는 이들은 카타도르들을 대표하기 위한 조합 AC..
빼빼로데이 보다 특별한날, Buy Nothing Day 11월에는 여러분들이 다 알고 있는 빼빼로 데이도있지만 보다 더욱더 특별한 날이있습니다. 아무것도 사지않는 날(Buy Nothing Day), 들어 보셨나요? 이런날 여러분들은 어떻게 행동하시겠습니까? Buy Nothing Day(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은 1992년 캐나다에서 시작되어 현재 세계 50여 개국 이상이 동참하는 행동의 날입니다. 이 캠페인은 테드 데이브(Ted Dave)라는 광고인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해마다 11월 마지막주에 열리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99년부터 녹색연합이 주도적으로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11월마지막주? Buy Nothing Day 의 날짜는 매년 11월말에 날자가 정해지는데. 이것은 11월말이 서구에서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 선물을 준비하느라 본격적인 소비..
카쉐어링, 뮌헨의 MO!! 우리 주위에 환경을 위해,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고, 승용차를 지인들과 함께타는(카풀)개념있는^^ 시민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자전거도 자전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어느정도 가까운 거리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카풀도 인원 수, 거주 지역 등 운영하는데 필요한 조건들이 참 많지요. 우리나라는 원유 한방울 나지 않는 곳 입니다. 하지만 자동차 운행대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어, 현재 1,400만대의 자동차 중 70%가 자가용 차량이며, 이 중 80%가 나홀로 차량이라고 합니다. 덕분에 에너지 소비는 계속 증가하고, 교통 체증은 심화되며 차량 배기가스로 대기오염문제도 심각한 상태이구요. 누구든 원하면, 자유롭고 저렴하게 자동차나 자전거를 쉽게 믿고, 빌리며 나누는 카쉐어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