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owalk story

(2360)
사무직 노동자를 위한 스트레칭, 50' 오랜 시간 동안 한 자세로 앉아 일하는 사무직 노동자들의 대표적인 증상은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입니다. 이 증후군은 컴퓨터의 화면을 오랜 시간 사용함으로 생기는 질환을 나타내는 말인데요, 화면에 나오는 빛에 의한 안과 질환과 바르지 못한 작업 자세로 인한 목, 어깨, 팔, 손목 등의 신체 질환 등을 포함합니다. 이번 인포그래픽에서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 중, 신체 이상을 주는 장애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스트레칭 방법을 전달합니다. 목과 어깨의 통증은 몸의 일부가 되어버렸다고 이야기하던 고라니 발자국, 그리고 어느 날 갑자기 손등에 볼록 올라온 물혹(결절종)을 보며 당혹스러워하던 산비둘기 발자국이 생각납니다.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컴퓨터..
당신이 재난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소한의 것들, "생존배낭" 뉴스를 통해 재난, 재해, 긴급 상황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되는 요즘. 점점 더 안전을 자신할 수 없는 불안한 세상 속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등 재난이 빈번한 국가들에서는 적십자사를 통해 가정용 재난 대비 물품 준비를 권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도 일어나고, 일어날 수 있는 재난 재해. 그에 대한 경각심을 미리 인지하고 일정 기간 긴급 생존에 대비할 수 있는 가정용 키트를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한 '생존배낭'을 소개합니다~! 저희 버닝데이 팀은 김도형 실장님, 해달 발자국, 스무 살의 인턴 알파카 발자국이 모여 가장 큰 연령 차를 자랑하는 팀인데요.^^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 중에서 평소 안전이나 재난재해에 대한 셋의 공통 관심사를 모아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지진, 해일,..
최루탄에 핀 꽃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여러 차례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분쟁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오랫동안 계속된 분쟁으로 민간인의 피해는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폭력이 발생하는 그곳에서 꽃밭을 만나는 일은 얼마나 특별한 일일까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구역인 서안지구의 빌린(Bilin)마을에서는 꽃을 심으며 상처를 회복해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철조망에 걸린 최루탄에 작은 꽃이 피었습니다. 덩그러니 걸린 최루탄이 왠지 쓸쓸해 보이기도 합니다. 이 특별한 최루탄 화분을 만든 사람은 팔레스타인의 사비하(Sabiha)라는 여성입니다. 그녀가 최루탄 화분을 만든 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녀의 아들 바셈(Bassem Abu Rahmah)은 2009년 빌린에서의 시위 도중 이스라엘군의 최루탄을 가슴에 맞은 ..
소비자가격의 불편한 진실, "How much?" 영화관에서 5,000원에 사 먹을 수 있는 팝콘의 원재료가격은 613원입니다. 소비자는 거의 8배 이상의 가격을 주고 먹는 셈입니다. 또 3사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팝콘 가격이 똑같아서 담합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었죠. 상품의 원재료가격을 알게 된 후, 소비자들은 왠지 모르게 속은 느낌을 받기도 하고, 몰랐던 사실에 분노하기도 합니다. 더욱이 소비자가격이 인상될 때마다 기업은 늘 원재료가격의 상승을 이유로 듭니다. 과연 기업의 변명은 진실일까요? 소비자가격의 불편한 진실, "How much?"입니다. 이번 버닝데이때 한팀이 된 누렁이 발자국, 나무늘보 발자국, 펭귄 발자국은 주제를 정하기 위해 얘기를 하던 중 팝콘의 원가에 대한 얘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613원밖에 안 하는 팝콘을 5,000원이나 ..
한 시간 일해도 밥 한 끼 못먹는 최저임금 "Minimum Life" 2014년 한국 최저임금은 시간당 5,210원입니다. 직장인 밥 값 평균은 6,488원으로 5년 전에 비해 무려 1,295원이 올랐습니다. 최근 2015년 최저임금에 대한 논란이 일면서 사용자단체들은 동결을 주장하고 있는데요, 과연 지금의 최저임금 5,210원이 충분한 걸까요? 최저임금이 실제 삶 속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지니는지 인포그래픽을 통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제 선정 배경 버닝데이 인포그래픽으로 무엇을 알리면 좋을 지 고민했는데요, 저희 팀원(김명직 웹개발실 실장, 하늘다람쥐 발자국)은 살면서 직접 겪었던 불편함부터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인턴으로 일할 때,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을 받았다. 밥 값, 교통비를 제외하면 쓸 수 있는 용돈이 없었다. 함께 일하는 인턴 중 자취하는 친구들..
중국 어선에 고통받는 우리 바다 "서해中독" 2014년 5월 20일, 서해에 중국 불법 어선 1,103척이 출몰했습니다. 꽃게잡이 철을 맞아 대거 몰려든 것입니다. 이들은 한-중 공동 어업수역인 배타적경제수역(EEZ)을 넘어 서해안까지 근접하여 불법 조업을 일삼습니다. 불법 그물 사용은 물론이고 수십 척의 배를 붙여 대량으로 어획하기도 해 한국 어업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이들을 계속해서 단속해오던 곳은 있습니다. 해양경찰인데요, 단속 중 중국 불법 어선의 폭력적인 대응에 순직한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얼마 전 정부는 해양경찰 해체를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이들이 해왔던 일은 누가 해야하는 걸까요? 이 실태를 알리기 위해 고래-소금쟁이-고양이 발자국이 한 팀이 되어 '2014 상반기 슬로워크 버닝데이' 인포그래픽을 제작했습니다..
초과근무 공화국 "Overworking Republic" 만족스러운 직장 생활을 하고 계신가요? 평소 초과근무의 불합리함에 관심이 많았던 토종닭 발자국과 고슴도치 발자국은 이번 버닝데이를 맞이하여 한국의 초과근무에 관한 인포그래픽을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칼퇴(칼같이 하는 퇴근)'라는 아이러니한 단어가 존재하는 나라, 대한민국의 초과근무실태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주제 선정 배경 'OVER WORKING REPUBLIC'이란 '초과근무 공화국'이라는 뜻으로 대한민국에 만연한 '초과근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최근 무리한 업무량으로 잦은 야근을 반복해왔던 두 사람은 슬로워커들이 회사와 개인의 발전을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지, 또 그 노력을 수치로 환산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졌습니..
출퇴근의 고단함을 게임으로, 인포그래픽 "집으로 가는 길" 1. 두 사람의 공통점 = 머나먼 출퇴근 인포그래픽으로 버닝데이를 한다고 했을 때, 여러가지 주제가 떠올랐습니다. 사회적이슈, 평소에 궁금했던 것들, 쉽게 가려면 이미 자료를 가지고 있는 것들. 고민하던 중 '우리'와 가장 밀접한 주제를 해보자는 의견이 나왔고, 한 팀을 구성한 두 사람(북극곰 발자국, 사슴 발자국)의 유일한 공통점인 '머나먼 출퇴근' 시간을 주제로 정했습니다. 의정부와 인천에서 종로까지는 하루에 왕복 3시간이 넘게 걸리는데요. 이 시간이 하루의 1/8정도이니 적은 시간은 아니죠. 2. 집으로 가는 길 '출퇴근'이라는 광범위하고 추상적인 주제를 어떻게 보여줄까? 직장인, 출퇴근 등의 키워드로 이리저리 리서치를 해보니 서울, 수도권에는 출퇴근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