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 (55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디언 아요레오족 의자 보셨나요? 남미 파라과이 북부 지역에서 삶의 터전을 이루어왔던 아요레오족(Ayoreo). 서양 제국들의 지배의 손길이 닿기 전까지에는 지금같은 의자가 없었답니다. 그냥 쪼그려 앉아 쉬었지만,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끈의자(사진 왼쪽)를 사용했지요. 척추 보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일할 때, 다리를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오랜 시간 앉아 있을 수 있었습니다. 칠레의 한 디자이너( Alejandro Aravena) 가 인디언의 지혜를 재발굴해서 끈 의자(chairless)를 만들었습니다. 야외에서 느긋하게 아이스 크림을 먹을 때도...... 허리와 다리를 연결하면 편안하게 앉아 쉴 수 있답니다. 이 아이디어제품이 상품화되면, 수익금은 파라과이 인디언 커뮤니티를 위해 쓰인다고 하네요. '오래된 미래'라는 말이 있습니다. 과거.. 친환경 결혼식 완벽 가이드!!! 생각도 다르고 가치도 다른, 두 별에서 온 남녀가 만나 사랑의 힘으로 함께 살아가는 일. 서로가 다름을 늘 투덜거리다가도 대단한 낭만도, 설렘도 아닌 우연히 발견한 사소한 공통점에 기뻐하며 살아가는 것, 그것이 결혼의 행복 아닐까요? 4월의 중반을 넘어섰습니다. 금새 5월이 찾아오겠죠. 5월은 본격적인 웨딩시즌입니다. 4월의 마지막을 달려가면서 예비 신혼부부들은 설레는 가슴을 안고, 결혼 준비에 한창이실 것 같네요. 사랑하는 두 사람이 주인공이되는 단 하루 밖에 없는 결혼식이니까요. 시대의 변화로 사람들의 가치관이 바뀌고, 결혼시기가 늦어지며, 그 중요성이 예전보다 많이 약해졌지만, 결혼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 앞에서 서로의 사랑을 맹세하고, 행복한 가정을 꾸릴 것을 공식적으로 약속하는 자리이기에 한 사.. 오락기로 경험하는 파킨슨 병 환자의 고충 매년 4월 20일, 장애인의 날. 오늘은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높이고 국민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제정한 날입니다. 해마다 이날이 되면 모든 장애인들의 생일이라도 되는 것처럼 곳곳에선 갖가지 행사를 열어왔습니다. 그때마다 이 날을 축하하며 기뻐하는 마음이기 보다는 늘 안타깝고 아쉬운 마음이 먼저였던 것 같습니다. 그들에대해 늘 같은 마음이 아니라 이런 장애인의 날에만 관심을 갖는 것 같았기 때문이죠. 따스한 햇볕과 봄비가, 예쁜 봄 꽃을 피우는 일을 돕 듯이, 사람들의 따뜻한 사랑의 손과 지속적인 관심이 우리 장애인들에게는 큰 힘이 될 것입니다. 그래도 과거와 비교해 보면, 참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놀라울 정도로 좋아졌지만 이것을 보니 아직 갈 길은 멀기만 합니다. 멀리서 보면 우리나라 초등학교 앞, 인.. 이젠 그린와인을 마셔요? 레드와인을 마실까? 화이트와인을 마실까? 대부분 와인을 고를 땐, 먼저 그 색을 선택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이젠 매혹적인 레드와인과 맑은 화이트 와인만이 아니라 그린와인까지 그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그린와인, 처음 들어보신 다구요? 그린와인이란 바로 친환경 와인을 의미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자들의 환경 보호 의식은 높아져가기에 요즘은 와인시장에서도 친환경 제품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수출 1위 품목 와인. 역시 와인하면 프랑스 아닌가요? 특히 보르도, 부르고뉴 지역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와인의 고향입니다. 그래서 2006년 기준 수출액은 약 14조원에 달했고, 18만 9000여명이 와인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프랑스의 국민 산업이 지구온난화 때문에 애를 먹고 있습니.. 돈 없이도 잘 먹고 잘 사는 현대판 품앗이, 지역화폐 (좌: 일본 다카다노바 지역의 ‘아톰화폐’ 우: 미국 Arizona주의 지역화폐 'tucson traders tockens') 우리 선조들은 예로부터 일을 서로 거들어 주면서 품을 지고 갚는 품앗이를 통해 이웃 간에 따스한 정을 주고받았지요. 현대에 도시에서도 이런 따스한 풍경을 만나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지역화폐’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이지요. 지역화폐 운동은 1983년 캐나다의 마이클 린턴이 'LETS (Local Exchange Trading System)'라는 지역화폐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되었는데요, 지역 내에서의 경제 환경을 도모해 지역경제의 자립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특정 지역에서 통용되는 화폐로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하는 체계를 가리킵니다... 한국, 세계 식량전쟁에 무방비상태일까? 현재 대한민국 식량 자급률 25.3%. 그 중 쌀을 뺀 나머지의 식량 자급률 5%. 쌀 식량자급률 95%. 이 한편의 동영상으로 우리의 식량에 대한 인식이 180도 바뀌었습니다. 국내에서 소비하는 식량의 공급량 중에서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양이 차지하는 비율을 일컫는 말, 식량 자급률. 알고계셨나요? 식량 자급률은 국내 농업생산이 국민의 식품 소비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는 가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국민 경제지표이기도 합니다.. ▲ 2008년 기준 OECD 국가별 곡물 자급률 자료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사료용을 포함해 약 25%로, OECD 가입 30개국 가운데 27위에 해당하는 수치. 이는 지금까지의 수치 중 최저치이며, 하루 세 끼 중, 두 끼 이상을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 .. 슬로푸드와 '이외수의 작은 것은 적은 것이 아니다?' 슬로푸드(Slow Food)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이외수 트위터에 올라온 '작은 것이 적은 것은 아니다' 이 잠언을 읽으면서 슈마허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말과 '빠른 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라는 말도 떠오릅니다. '패스트 푸드가 좋은 것은 아니다' 경기도 남양주시가 2012년 슬로푸드 대회 유치를 위해 발 벋고 나섰습니다.요즘 슬로우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 많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주 올레길. 슬로 시티, 슬로우 산책길 등. ...................................................................................................................................................... 폐지로 친환경 명함을 만들어 보자! 비즈니스를 위한 자리에서 혹은 개인적인 자리에서, 사람들과의 첫 만남은 인사와 함께 명함 건네주기에서부터 시작되지요. 가장 작은 얼굴이라 불릴 만큼 명함은 그 사람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인데요, 명함 하나로 환경을 생각하는 착한 마음을 듬뿍 표현할 수는 없을까요? 요즘은 어딜 가도 친환경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기업에서도 개인적으로도 에코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뜨거워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무늬와 형식만 에코디자인인 것들이 넘쳐나고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재생용지에 콩기름 잉크를 사용한다면 일반 명함보다는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더 본질적인 친환경 프로세스가 필요하겠지요. 포르투갈의 Fischer Lisbon 디자인 그룹에서 만든 친환경적인 접근의 ‘Ecologica..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다음